그린피스 “바다에 닥친 위협, 불충분한 규제 탓”
“전 세계 바다의 30%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그린피스가 “바다에서 크고 작은 기름유출이 상상보다 자주 일어나며 세계 곳곳의 불법어업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력한 해양보호구역 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피스가 “바다에서 크고 작은 기름유출이 상상보다 자주 일어나며 세계 곳곳의 불법어업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력한 해양보호구역 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그린피스가 “바다에서 크고 작은 기름유출이 상상보다 자주 일어나며 세계 곳곳의 불법어업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력한 해양보호구역 제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27일 환경감시선 항해사 명의 이메일을 통해 “바다가 파괴되는 현장을 자주 목격한다”고 밝혔다. 이날 환경감시선 2등 항해사 류한범씨는 이메일에서 자신이 환경감시선의 바닷길 찾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류씨는 바닷길을 찾는 사이 다양한 해양생물을 보면서 넘치는 지구의 생명력을 느낀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바다가 파괴되는 현장을 더 자주 목격한다”고 밝혔다. 류씨는 이메일에서 “크고 작은 단위의 기름유출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자주 일어나며, 전 세계 바다 곳곳에서 발생하는 불법어업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 또한 큰 문제”라고 밝혔다.

그린피스는 바다에 닥친 위협이 불충분한 규제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전 세계 바다에서 공해가 약 60%를 차지하지만, 인간의 활동이 제한된 보호구역으로 제정된 곳은 공해상의 2%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이런 과정에서 무분별한 개발과 오염, 남획 등으로 바다가 생명력을 잃고 있다는 게 그린피스 입장이다.

◇ “전 세계 바다의 30%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쉽게 설명하면 이런 얘기다. 태평양 한가운데 거대한 ‘쓰레기 섬’이 떠다니거나 해양생태계가 무너져 생물다양성이 위협받는 등 바다를 둘러싼 여러 환경 이슈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세게 여러 나라들은 바다를 접한 해안가의 환경에는 일부 관심을 기울이지만, 해안가를 벗어난 곳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조치를 위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그린피스는 이메일에서 “기술의 발전은 아주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바다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바다 한 가운데에서 석유를 빼내고, 심해채굴을 통해 해저 몇천미터에 있는 광물자원들을 한번에 긁어 채취해버리기도 한다”고 밝혔다.

현재 UN에서는 글로벌 해양조약을 통해 강력한 해양보호구역 제정을 논의하고 있다. 2030년까지 전세계 바다의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논의다. 이 글로벌 해양조약 회담의 마지막 회의가 내년 상반기로 예정되어 있다.

그린피스는 지난해부터 글로벌 해양보호 캠페인을 통해 관련 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 2016년 세계자연보전총회(WCC)에서 '2030년까지 전체 해양의 최소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목표를 제정한 바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활동이다.

그린피스 서울사무소는 지난 4월, 해양수산부 장관과 외교통상부 장관에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해양 보호구역을 확장하라는 내용의 서한과 서명을 전달했다. 당시 그린피스 해양캠페이너는 “유엔에서 영해 바깥쪽 공해 부분에 관한 법을 제정했는데 이 법이 해양생태계를 보존하거나 보호하는데 있어 어떤 강제성을 띄지는 않는다”고 말하면서 “기존의 법으로 담을 수 없었던 새로운 가치를 위해 새로운 제도 등이 필요하다는 움직임이 이미 15년 전부터 있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바다를 둘러싼 환경 관련 논의가 꾸준히 이어지는 가운데, 특정 국가의 영해가 아닌 ‘먼 바다’의 환경을 지키는 문제에 대해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