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산업부·환경부 CCU 기술 관련 로드맵 수립

석탄과 석유, 가스 같은 화석연료 사용으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면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정부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이행안 수립에 착수한다. 관련 기술을 전략적으로 확보하고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겠다는 취지다.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그치는게 아니라 배출된 탄소를 포집해 자원화하거나 유용한 물질로 전환해 활용하겠다는 목표여서 관심을 끈다. 사진은 독자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 특정 내용과 관계없음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정부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이행안 수립에 착수한다. 관련 기술을 전략적으로 확보하고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겠다는 취지다.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그치는게 아니라 배출된 탄소를 포집해 자원화하거나 유용한 물질로 전환해 활용하겠다는 목표여서 관심을 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를 위한 이행안(로드맵) 수립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CCU 기술은 산업시설과 발전소 등 온실가스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해 자원화하거나 유용한 물질로 전환해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과 동시에 인간 생활에 직접 사용하거나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탄소 중립 실현에 필요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과기부 등에 따르면 이번 로드맵 수립에는 관련 산·학·연 전문가 약 5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들은 향후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관계부처 합동 CCU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들은 CCU 로드맵을 크게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산업전략, 정책·제도 등 4개 분야로 분류했다. 앞으로 온실가스 감축효과 및 성과목표를 검토하기 위한 검토위원회를 구성해 관련 기술개발 및 상용화 전략과 법·제도적 지원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기술 공급 측면에서는 각 분야별 세부기술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및 기술 수준 분석을 통해 기술개발 전략을 제시하고, 기술 수요 측면에서는 시장 분석과 극복이 필요한 장벽을 확인하고 이에 필요한 실증·상용화 전략을 마련한다.

이를 토대로 기술을 두가지 군으로 구분한다. 오는 2030년 내 상용화 가능한 단기상용화 기술군과 장기적 관점에서 확보가 필요한 중장기 전략기술군이다. 이를 통해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도출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CCU 기술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론이 수립되지 않은 측면을 고려해 기술 상용화에 따른 감축 효과의 객관적 검증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과기부 등은 로드맵을 토대로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에 기여하고, 탄소중립 사회 전환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 및 CCU 상용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로드맵 수립이 완료되면 중점 투자분야를 도출해 부처간 연계 및 역할 분담을 통해 범부처 차원의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로드맵 민간위원장을 맡은 김재현 공주대학교 교수는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배출된 탄소를 경제적으로 처리하는 것도 중요하다”라고 말하면서 “이번 로드맵을 충실히 도출해 CCU 기술을 전략적으로 확보하고,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