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가능해도 오염 제거 안 되면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칫솔, 가위 등 재질 섞인 물건은 일반쓰레기로 배출 
화학성 약품 배출은 구청에, 의약품 배출은 약국에 확인

지구온난화에 대한 경고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지구는 뜨거워지고 있고 날씨는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먹고 마시는 물과 공기에도 미세플라스틱이 떠 다닌다는 이야기가 들려옵니다. 먼 나라 이야기 같던 환경 문제들이 이미 생활 속 깊숙이 알게 모르게 들어와 버렸다는 이야기입니다. 

우리의 손길과 발길이 닿는 모든 곳에 쓰레기가 남습니다. 어쩐지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모두 폐허다”라는 시구가 생각나기도 합니다. 서글픈 느낌도 듭니다. 내 손 끝에서 시작되는 일이라면,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내가, 내 이웃이 함께 움직인다면 결과도 조금 달라질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생활 속에서 바로 시작할 수 있는 소소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일명 지구를 살리는 생활의 기술입니다. 매주 주말마다 한 가지씩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보를 가져가는 데는 1분이면 충분합니다. 실천하면서 보내는 시간은 오래 걸리겠지요. 1분 환경 정보의 의미는 거기 있다고 생각합니다. 네 번째 시간은 ‘올바른 분리배출 습관’입니다. [편집자주]

쓰레기를 버릴 때 우선 기억해야 할 것은 ‘쓰레기도 깨끗하게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쓰레기를 버릴 때 우선 기억해야 할 것은 ‘쓰레기도 깨끗하게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곽은영 기자] 코로나19로 집콕 기간이 길어지면서 쓰레기 배출량도 늘어나고 있다. 스스로 아무리 적게 사용하려고 해도 배달음식이나 택배를 한 두 번 이용하게 되면 늘어나는 쓰레기를 막을 도리가 없다. 

냉장고와 찬장 안에 있을 때까지만 해도 ‘내 것’이었던 수많은 음식과 용기들은 쓸모를 다 하고 나면 내 것도 네 것도 아닌 상태로 쓰레기통으로 직통한다.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이미 생긴 후라면 재활용이 되는 물건은 최대한 분리수거 후 배출하는 것이 환경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분리수거도 만만치 않다. 너무 작은 플라스틱은 오히려 분리수거 기계를 망가뜨릴 수 있으니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더 좋다는 이야기가 들려오고, 어떤 물건은 분리수거가 되게 생겼는데 분리수거가 될 수 없다고 한다. 도대체 무엇이 맞는 이야기일까. 

수많은 정보들에 앞서 쓰레기를 버릴 때  우선 기억해야 할 것은 ‘쓰레기도 깨끗하게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라면, 과자, 일회용 비닐봉지 등 비닐류는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 씻어서 배출하고, 씻어도 오염물이 제거되지 않으면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비닐 외에 병이나 캔도 깨끗하게 세척이 가능하다면 분리배출, 세척이 되지 않는다면 일반쓰레기로 배출한다. 덧붙이자면 병류와 유리는 깨졌을 경우 재활용이 되지 않고 수거 시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신문지로 싸서 종량제 봉투에 버리도록 한다. 

또 한 가지, 여러 재질이 섞인 물건은 대부분 재활용이 아닌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한다. 이를테면 스테인리스와 플라스틱이 혼용돼 있는 가위의 경우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신문지에 싸서 버리고, 플라스틱 손잡이로 만들어진 칫솔은 칫솔모가 식재돼 역시 분리가 어려우므로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과자통 중에서도 단일 종이가 아닌 다층포장재로 이뤄진 경우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종이 분리수거에 대한 오해도 많다. 전단지, 영수증, 기름 묻은 종이 등을 종이류로 분리해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같은 종류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종이는 속에 비닐이 덧대어져 있을 경우 쉽게 찢어지지 않기 때문에 손으로 찢어지면 종이로 분리배출이 가능하다고 본다. 종이 중에서도 우유팩은 고급재지로 분류되므로 가능하다면 일반종이와 별도로 배출하는 것이 좋다. 

페트병이나 플라스틱 용기는 내용물을 깨끗하게 비운 후 뚜껑과 라벨 등을 제거하고 분리배출 해야 한다. 특히 패트병의 경우 뚜껑과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뚜껑은 플라스틱, 페트병은 페트병류로 따로 분리해야 한다. 

이밖에 주의할 사항은 화학성 약품과 의약품 배출다. 화학약품의 경우 지자체에 따라 버리는 방법이 다르므로 해당지역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문의 후 별도로 버려야 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약품은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환경오염과 환경교란의 원인이 되므로 꼭 동네 약국에 가져가서 버려야 한다. 

key@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