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정부가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을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주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기로 했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생명공학, 의·약학 지식을 통해 인체에 사용되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다.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등 제조업과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등 의료·건강관리 서비스업을 포함한다. 

이 산업은 다른 제조업·서비스업과 달리, 기술·자본이 집약된 산업으로 연구개발(R&D) 기간과 비용이 성패를 좌우한다. 연구개발에 장기간·고비용이 소요되지만, 우수한 성과는 성공으로 직결된다는 것이다. 

바이오헬스 세계 시장 규모는 인구 고령화와 건강 수요 증가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주요 선진국은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 선점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제도를 정비 중이다.

미국은 지난 2015년부터 바이오 경제 청사진을 세우고 연구개발 투자 확대, 제품화 촉진 등 5대 전략을 세웠다. 지난해부터는 정밀 의료 구상(이니셔티브)을 발표하고, 암 치료법 개발, 연구 코호트 구축 등 대규모 정밀 의료 연구 계획을 제시했다. 이어 혁신 의약품·의료기기 허가 기간 단축, 환자 의료데이터 공유·분석 등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영국은 지난 2017년 바이오헬스 분야를 포함한 미래 산업 전략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세계 최대 규모인 500만명 규모의 빅데이터 구축을 추진했다. 우리나라 역시 정책혁신과 선제적 투자를 확대한다면 선도주자로 급부상할 기회를 맞고 있다. 

◇ “수출 500억 달러, 일자리 30만개 달성이 목표”

한국은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을 통한 ‘사람 중심 혁신 성장’이라는 비전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수출 500억 달러를 달성하고, 일자리 30만개를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정부는 그간 바이오헬스 연구개발 분류체계를 10개로 재편해 투자 사각지대를 없애고, 정책과의 연계를 강화했다. 

먼저 △원천·기반연구 △의약품 △헬스케어서비스 △산업혁신·규제과학 맞춤형 투자전략(단기 집중 및 중·장기 지원 등) 등 4개 분야의 투자 전략을 제시했다. 이어 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해 민간 개방을 확대하고, 혁신 의료기기 육성, 예방·건강관리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없앴다.

그 결과 지난해 바이오 분야는 7조5000억원 상당의 기술수출을 달성하고, 혁신 인재난 해외 우수연구자를 유치하는 등 미래기반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세계 3위 과학 인프라 순위를 달성하고, 세계경제포럼(WEF) 기준 국가경쟁력이 매년 2단계씩 상승하고 있다. 

정부 연구개발 예산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20조원 투자 이후, 올해는 24조원을 배정받아 전년 대비 18%가 상승했다. 지난해에는 범부처 R&D 규정·지침 표준(안)을 마련하고 R&D 혁신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100만명 수준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도 시작했다.

◇ 바이오헬스, 최우선 과제는?

지금까지 바이오헬스 산업은 정책이나 자금 지원 등이 부족해 생태계가 형성되지 못하고 초기 단계에만 머물고 있다. 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개선이나 예산 확충을 통한 인프라 구축도 필수지만, 그동안 축적된 바이오 클러스터, 우수 의료인력, 병원 시스템 등 우수한 인프라 등을 산업 혁신의 동력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벤처 기업 등이 발굴한 신약후보 물질이나 기술들이 실제 시장 진출까지 이뤄질 수 있는 범정부 차원의 오픈 이노베이션이 필요하다. 신약을 개발하는 업체에는 허가 당국이 컨설팅을 해주는 등 중·장기적 지원이 필수다.

또 국가경쟁력의 주축이 될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전문 인재 육성을 통해 장기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현재 중소기업과 소프트웨어(SW)·바이오·화학 업종의 인력난이 심각하다. 해당 업종은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을 구하기 힘들고, 구직자는 산업 이해도가 낮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직자들의 산업 이해도를 높이고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력을 매칭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사회적으로도 윤리나 생명·건강에 대한 우려 등으로 바이오식품, 헬스케어 등에 대한 수용성이 낮은 편이다. 미래 소비자가 될 국민들이 바이오헬스에 대한 편견이나 그릇된 인식을 개선하도록 인식 제고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