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과 소비자 불편 완화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가 은행권 공동ATM 추진을 가시화한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가 은행권 공동ATM 추진을 가시화한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은행권이 온라인지급수단의 발달에 따른 현금인출 감소로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설치운영규모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하나로 뭉친다. 은행권 공동ATM이 실현되면 금융사는 ATM의 효율적인 운영과 고객 거래증가를 견인할 수 있고, 고객들은 불편이 완화된다.

12일 한국은행은 ‘금융포용 측면에서의 ATM 운영 개선 추진’안을 발표했다. 현금 접근 인프라인 은행 ATM설치규모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데서 따른 지역별 ATM설치 불균형과 향후 국민들의 현금 이용시 불편을 완화하기 위해서다.

실제 지난해 은행권 ATM설치 대수는 55.8천대로 최고치인 2013년말 70.1천대를 기록한 이래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다만, 편의점 및 공공장소 등에 설치하는 제휴 ATM대수는 증가했다. 

특히 현재와 같은 ATM운영방식이 고집된다면 지역별 ATM불균형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 국내 ATM의 절반은 수도권에 밀집돼 있으며, 서울에는 단위면적(1km2)당 36대가 설치돼 단위면적당 0.3~0.4대가 설치된 강원·경북·전남지역 간 격차는 무려 100배를 넘어선다.

또 인터넷뱅킹 및 간편결제 등의 디지털 지급수단 확대로 현금을 주로 사용하는 고령층과 장애인 등이 지급수단 이용시 소외될 수 있다. 2018년 기준 상품 및 서비스 구입시 현금사용 비중은 32.1%에 불과하다. 10명중에 7명은 현금을 쓰지 않는다는 말이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ATM보급률은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지만 ATM배치정보가 통합 관리되고 있지 않아 국민들은 ATM위치와 수수료 등의 세부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2018년 기준 해외 주요국의 인구 10만명당 ATM보유대수는 68.1대인데 반해 우리나라의 보유대수는 244대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나아가 현금수요자뿐 아니라 은행 등 ATM 공급자의 운영전략 수립, 정부·한국은행의 정책대안 마련 등에도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는 은행권과 협의를 통해 국내 ATM 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국민들의 현금 접근성 보장을 위한 종합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은행권 ATM 실태 파악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운영 △ATM 정보 제공 인프라 구축·운영 △ATM 대체 인프라(가맹점 입출금 서비스) 이용 활성화 △은행권 ATM의 급격한 감소 방지(중기과제) △농어촌 등 인구비밀집지역 ATM 적정 수준 유지 논의 등이 추진된다.

한국은행은 하반기 은행권과 공동ATM설치정보를 수집·관리하기 위한 CD공동망 정비 및 데이터 표준화 사업을 실시할 방침이다.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내년에 ATM DB구축 사업이 추진된다.

동시에 금융결제원이 시범운영 중인 ATM 거래내역 분석 시스템을 기반으로 ATM앱 개발을 추진한다. 

한국은행은 사업추진의 효율성을 위해 개발 실무는 CD공동망 운영기관인 금융결제원에 위탁할 계획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ATM의 급격한 감소 방지 방안은 구축된 DB를 활용하여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산하 금융포용위원회에서 은행권을 중심으로 검토해 나갈 예정이며, 필요시 VAN사 등 여타 이해관계자들도 논의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추진 중인 현금카드 가맹점에서의 거스름돈(잔돈) 계좌입금서비스 등이 시장에 확산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 및 유통사업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