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피해자 13만 5천명 빅데이터 분석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작업대출에 가담하도록 유도하는 업자가 늘어나 주의가 요구된다.(그래픽 최진모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저신용자와 50대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래픽 최진모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와 50대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감독원이 지난 3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13만5000명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분석결과 피해자들의 76.7%는 사칭형 피해보다는 대출빙자형 사기에 쉽게 속았다.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범죄는 2016년 이후부터 77%의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카카오톡을 비롯한 메신저피싱은 2018년 이후 증가했으며 매년 4분기에 들어서 크게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50대가 전체 피해자의 32.9%를 차지하며 가장 취약했으며 다음으로 40대와 60대가 취약했다.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범죄에서도 50대는 33.2%의 높은 피해율을 보였고, 메신저피싱에서도 50대는 41.6%의 피해율을 나타냈다.

성별 피해비중은 남성이 51.6%, 여성은 48.4%로 비슷한 수준이나 대출빙자형 피해는 남성이 조금 높고 사칭형과 메신저피싱은 여성의 피해가 컸다.

특히 저신용자일수록 피해에 취약했다. 저신용자의 58.8%가 대출빙자형 범죄피해를 입었으며 고신용자는 사칭형 범죄에 노출되는 경향이 짙었다.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범죄중 카드사를 사칭한 피해가 29.1% 가장 많았고 저축은행과 대부업이 각각 23.4%, 19.1%로 뒤를 이었다. 이 경우 대부업에서 캐피탈 등 여전사로 이동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금감원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피해예방 업무강화를 추진한다. 

먼저 금융회사별 자체 보유고객 속성 분석을 통해 사기유형별 피해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문자와 안내장을 통해 맞춤형 안내를 실시할 방침이다.

또 고객 피해자금이 몰리고 있는 카드 및 여전사 등 제2금융권의 경우 보이스피싱 예방 문진을 강화한다. 예컨대 고객에게 대출받고 바로 상환하면 신용등급이 올라 저금리로 대출이 가능한지 등을 묻는 것이다.

아울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잠재 취약고객을 보호하고 금융회사의 이상거래 탐지시스템을 고도하해 피해예방기능을 제고한다. 

동시에 피해자 속성을 반영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홍보 및 교육도 강화한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