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격한 내부 통제 시스템이 안전지대 구축한 ‘효자’…IT기반 탐지시스템도 강화

은행권에 긴장감이 가득합니다. ‘고객 신뢰회복’이라는 높은 파도를 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8월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로 시작된 잇따른 사모펀드 사태는 은행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신뢰도하락이라는 치명상을 입혔습니다. 비록 사모펀드 게이트로 홍역을 치르고 있지만, 은행이 경제를 지탱하는 하나의 축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은행은 1878년 일본의 제일은행으로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경제에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은행에서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 디지털 전환기에 걸맞는 고객보호 시스템 구축에 나섰습니다. 이번 연재는 소비자중심으로 변화의 옷을 입고 있는 은행권의 소비자보호 장치를 소개합니다. 네 번째 순서는 소비자신뢰 명가로 거듭나고 있는 KB국민은행입니다.[편집자주]

허인 국민은행 행장이 AI로봇을 통한 디지털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최진모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국민은행이 디지털기술을 통해 소비자보호를 강화하고 있다.(그래픽 최진모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국민은행이 지난해부터 연이은 사모펀드 이슈를 줄줄이 빗겨가며 소비자신뢰 명가로 우뚝섰다. 작년부터 대규모 원금손실 또는 환매중단으로 소비자피해를 야기한 사모펀드는 7개를 넘어선다. 국민은행은 5대은행중 유일하게 사모펀드 이슈를 모두 빗겨가며 안전한 ‘무풍지대’라는 별명을 얻었다.

오히려 반사효과로 국민은행의 내부 리스크관리 시스템이 탄탄하는 것을 반증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지난해 대규모 원금손실을 야기한 DLF상품은 손실위험이 크다고 판단해 판매를 하지 않았고, 라임자산운용 펀드 제안서 또한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해 거절했다. 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도 기초자산이 불투명해 판매를 거부했다.

실제 국민은행은 반사효과에 힘입어 5대 은행중 나홀로 펀드 판매가 증가했다. 지난 5월 말 국민은행의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7조4777억 원으로 전년 동기(2조2128억 원) 대비 4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의 사모펀드 판매잔액은 3조6796억 원, 우리은행은 3조459억원, 하나은행은 2조505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최소 12.1%에서 최대 44.5%까지 감소했다. 현재도 은행권에서는 사모펀드 이슈에 따라 판매비중을 줄이는 등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과 상반된 분위기다.

◇‘소비자보호 권익강화 자문위’ 설치 등 소비자보호 강화

국민은행은 소비자신뢰 명가로 발돋움하기 위해 ‘소비자보호 권익강화 자문위원회’를 마련해 내부통제 강화하는 등 금융소비자보호 제도 강화에 힘을 싣고 있다. 

국민은행은 먼저 지난 6월 8일 시중은행 최초로 ‘소비자보호 권익강화 자문위원회’를 출범시키고 내부통제 프로세스를 강화했다.

자문위는 한국소비자학회 회장을 지낸 권대우 한양대 교수, 한국소비문화학회 회장인 유현정 충북대 교수, 금융법 전문가인 전경근 아주대 교수, 노동법 전문가인 도재형 이화여대 교수 등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자문위는 국민은행에 소비자보호 제도와 절차에 대한 개선 의견과 신규 상품·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지향성여부 등을 검토한다. 

◇소비자보호 1등 구축한 효자, 철저한 ‘내부통제 시스템’

자문위가 출범하면서 국민은행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국민은행의 금융투자상품 시스템은 총 14단계로 구성돼있다. 우선 금융투자상품 선정에 앞서 △시장환경 점검 △운용사 선정 △상품성 검토 △심의 등 8단계의 과정을 밟는다. ‘상품 심의’ 단계에서는 ‘투자상품 사전협의체’ 심의와 ‘WM상품위원회’ 의결을 거친다. 투자상품 사전협의체 심의를 거쳐 일정 수준의 점수를 통과하면 WM상품위원회에서 의결하는 방식이다. 

금융투자상품본부장과 리스크·소비자보호·준법 등 유관부서 관계자들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참석위원 3분의2 이상이 동의해야 최종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국민은행은 내부통제 시스템을 통해 라임자산운용 펀드 등의 리스크를 걸러낼 수 있었다. 

국민은행의 철저한 내부통제 시스템을 통해 지난해 진행됐던 소비자보호실태평가에서도 우수등급을 차지했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은 2018년 증권사·은행의 파생결합증권 판매와 관련해 소비자보호실태평가를 실시했다. 당시 은행은 12개사 중 국민은행, 한국씨티은행, 부산은행이 ‘보통’ 이상의 등급을 받았으며, 국민은행은 윗등급인 ‘우수등급’을 받았다. 소비자보호실태평가는 각 항목별로 우수 양호 보통 미흡 취약 등의 세부평가를 진행하고 5등급의 종합평가 등급을 산출한다.

◇디지털·AI로 보이스피싱 및 대포통장 등 금융사기 예방

국민은행은 보이스피싱 및 대포통장 사기와 같은 금융범죄 근절에도 적극적이다. 금융사기 및 대포통장 사기를 막기 위한 전담팀을 꾸리고 보이스피싱 예방 시스템을 구현했다.

먼저 지난해 7월 금융사기 예방을 위해 ‘금융사기 대응팀’을 신설하고 8월에는 ‘소비자보호 강화 및 대포통장 감축 TFT’를 가동했다. 금융사기 전담팀은 대포통장 사전예방을 위한 모니터링부터 피해구제절차에 이르기까지 대포통장 근절을 위한 업무 전 과정을 도맡지만, 대포통장 피해가 늘면서 별도의 TFT를 꾸렸다.

특히 TFT에는 은행 내 IT 관련 인력이 대거 합류해 빅데이터와 AI를 적용해 대포통장 사기 피해를 근절하고 있다. 대포통장 예방 효과가 높았던 요건을 복합 모형화해 금융사기 거래를 분석하고, 이를 새로운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해 대포통장 발생부터 보이스피싱까지 원천 차단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또 민원 감축을 위한 ‘민원관리 원스톱 시스템’구축 등 금융소비자 권익강화를 위한 노력과 금융사기 거래 분석도 강화했다.

이를 통해 지난 3월에는 보이스피싱 예방 시스템을 고도화한 신(新)모니터링 시스템을 오픈했다. 이 시스템은 고객의 금융거래 패턴과 자금 흐름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보이스피싱 징후를 탐지한다. 실제 국민은행은 2개월 간 시범운영을 통해 약 640여건, 총 55억원 이상의 금융사기를 예방했다.

국민은행은 앞으로 IT기술 기반의 탐지시스템을 강화해 소비자보호장치를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mylife1440@greenpost.kr

키워드

#KB국민은행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