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의견수렴을 거쳐 기수생태계 복원방안 마련 예정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 모습. (환경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 모습. (환경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약 1개월간 낙동강 하굿둑을 장기 개방하는 시험 결과, 고등어, 전갱이 등 바닷물고기가 하굿둑 상류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하굿둑 개방으로 지하수 염분 농도에는 변화가 없어 생태계 복원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3일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올해 6월 4일부터 약 1개월간 실시한 ‘낙동강 하굿둑 운영 3차 실증실험’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6월과 9월 실시한 두 차례 실험이 단기간 개방 영향을 확인하는 목적이었다면 이번 실험은 하굿둑을 장기간 개방했을 때의 염분 확산 정도 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했다.

또한 이번 실험은 하굿둑 내측 하천수위보다 외측 바다 조위가 높아 바닷물이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이른바 ‘대조기(밀물이 가장 높을 때)’에 바닷물 유입방식을 가정해 현실과 가까운 실험이 되도록 설계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대조기는 수문을 단시간에 개방해 간헐적으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상황을, 두 번째 대조기는 수문을 상시 개방해 장시간 바닷물이 유입되는 상황을 가정했다.

첫 대조기 기간인 6월 4일부터 8일까지 총 5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수문 1기를 개방해 총 258만㎥의 바닷물을 유입시켰다. 유입된 염분은 밀도 차이에 의해 하천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상류로 이동했다. 또한 유입 횟수가 반복될수록 하천의 저층에서 염분의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기간에 염분은 최장 11㎞ 지점에서 확인되는 등 점차 상류로 올라가는 추세를 보이다가 강우의 영향으로 더 이상 확산되지 않았다.

두 번째 대조기인 6월 19일부터 25일까지 7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총 7회에 걸쳐 614만㎥의 해수를 다양한 방식으로 유입시켰다. 이 기간 동안 염분은 최장 12.1㎞ 지점에서 확인됐고 실험 이후 유입된 염분은 환경대응용수와 강우의 방류 등을 통해 대부분 희석됐다.

해당 실험 과정에서 수문 1기를 위로 열어둬 바닷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생태소통’ 가능성도 점검했다.

실험 기간 전·후 하굿둑 상류 4개 지점과 하류 1개 지점에서 조사한 결과, 개방 이후 둑 상류에서 전반적으로 물고기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등어, 농어, 전갱이 등 바다나 기수역(바닷물과 강물이 만나는 지점)에 사는 어류가 수문을 통과해 둑 상류까지 올라 왔다.

이와 함께 하굿둑 상류에서 장어 등 회귀성 어류가 확인됐고 청멸치 무리, 전갱이 등 기수(해수) 어종이 수문을 통해 이동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하굿둑 개방에 따른 지하수 염분 확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해 52곳에서 올해 총 287곳으로 지점을 대폭 확대해 지하수 염분 농도를 관측했다. 특히, 기존 농업·생활용으로 사용 중인 지하수에 대한 개방영향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지하수 관정 수질 관측지점을 지난해 8개에서 올해 225개로 늘렸다.

하굿둑 주변 지역 지하수의 염분 농도 변화를 관측한 결과 3차 실험에서도 1, 2차 실험과 마찬가지로 주변 지하수 관정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이번에 관측한 지점 중 5곳에서 염분 변화가 관측됐으나 평상시 변화범위 내에 해당하는 염분 변화로 장기실험에 따른 관련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등 5개 기관(이하 주관기관)은 앞선 두 차례의 단기실험과 이번 장기실험의 결과를 종합 분석해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올해 안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1~3차 개방 실험 결과로 정교화 된 지표·지하수 예측계산(모델링)을 활용해 다양한 개방 가상 일정(시나리오)을 마련하고 기수 생태복원 가상 일정(시나리오)별 영향을 예측해 시설물, 농업, 어업, 주변 사업 등 분야별 변화와 대책 등에 대한 대안을 함께 제시할 예정이다.

한편, 도출된 복원방안에 대해서는 농·어민, 지역주민과 시민사회단체, 지자체, 관계기관 등 이해당사자 의견을 수렴하고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