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수소 관련 30개 기업·기관과 업무협약
2030년 이전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국내 구축 계획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제2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를 주관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30개 기업·기관과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그린수소 해외사업단을 발족했다. 사진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제2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를 주관하던 당시 모습. (산업통상자원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정부가 10년 내 해외에서 청정수소(그린수소)를 들여오기 위해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30개 기업·기관과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그린수소 해외사업단을 발족했다.

이날 협약에 참여한 곳은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등 공기업 5곳과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준정부·연구기관 6곳, 대우조선해양·두산퓨어셀 등 민간기업 16개사와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한국선급 등이다.

정부는 지난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6개 분야별 세부 추진 계획을 세워 이를 이행한 바 있다. 해당 로드맵에 따라 그간 수소전기차, 수소충전소 확대 등 수소 수요를 늘리는 데 힘썼고 앞으로는 양질의 수소 공급을 늘리기 위해 민·관이 함께 힘을 모은다는 취지다.

정부는 수소전기차 등에 필요한 연간 수송용 수소 수요량이 올해 4천t에서 2030년에는 37만t으로 늘어날 것으로 본다. 2040년까지는 100만t을 예상하는 시선도 있다. 철강·화학 등 산업계에서 수소 활용이 늘어나면 수소 공급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현재 국내 수소는 석유화학 공정 부산물로 나오는 부생 수소와 천연가스(LNG)에서 뽑아내는 추출 수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부생 수소는 공급 여력에 한계가 있고,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는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조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산업부는 "국내 부생수소의 공급 잠재력, 추출수소의 온실가스 배출 문제, 국내 그린수소 생산능력 및 기술적 한계 등을 고려하면 2030년 이후 국내 수소 수요의 최소 10~50%의 청정 수소를 해외로부터 조달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청정수소를 국내로 들여오려면 액화 수소 운반선, 인수기지, 항만 저장 탱크 등 막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산업부는 "우리와 유사한 환경의 일본도 호주, 브루나이 등지에서 수소 도입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기관 간 초창기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정부 간 적극적인 국제 협력을 통해 사업의 위험성을 줄이는 역할을 할 예정이며,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을 직접 구축할 민간이 사업 기획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우선 금번 MoU 체결을 계기로 해외 청정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후보군에 대해 약 6개월간 전문 컨설팅 기관을 통한 경제·기술·지정학적 타당성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외 청정수소 생산‧공급을 실증(2단계, 4~5년)한 후, 민간의 해외 청정수소 생산·공급에 대한 투자를 유도(3단계, 3~4년)할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수소 분야의 선도자가 돼 청정수소 생산에 관해 앞선 기술력과 국제 공급망을 확보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수소 경제의 밝은 미래를 열기 위해 민관이 함께 협력해달라"고 당부했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