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아리수 10만병 시범 생산
환경단체·재활용 업계, 생분해성 플라스틱 실효성 없어…결국 소각행
서울시, 다양한 방안 강구 중…구체적인 가이드라인·지침은 없어

서울시가 올해 하반기부터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한 '아리수' 병물을 시범 생산한다고 밝혔으나 일각에서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서울시가 올해 하반기부터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한 '아리수' 물병을 시범 생산한다고 밝혔으나 일각에서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서울시가 ‘탈(脫) 플라스틱 혁신’을 한다며 ‘아리수’ 용기를 생분해성 페트병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으나 실효성이 없다는 환경단체와 업계의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내에 생분해성 플라스틱 처리 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에서 서울시 역시 명확한 처리 방안을 내놓지 않아 도리어 기존 쓰레기처리 시스템에 혼란만 가중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 21일 단수나 긴급재난을 대비해 비축·공급하는 ‘병물 아리수’의 재활용률을 극대화하고 환경오염 없는 생분해성 페트병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우선 그동안 재활용률을 떨어트리고 분리배출에 불편함을 준 비닐 라벨을 제거해 무색·투명 페트병을 생산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올해 10월부터 옥수수, 사탕수수 등 식물 전분에서 추출한 원재료를 사용한 ‘생분해성 병물 아리수’를 10만병 시범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국내 페트병에 친환경 생분해서성 소재가 사용되는 것은 최초로, 서울시 측은 6개월 이내 90% 자연 분해된다고 설명했다. 해당 페트병은 종전처럼 재활용품으로 분리배출할 필요 없이 일반쓰레기로 배출 가능하고 매립 시, 완전 퇴비화돼 일반 페트병보다 탄소배출량을 78% 절감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전혀 실효성이 없다는 환경단체의 지적이 제기됐다. 아직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처리시스템이 부재한 상황과 대부분 일반 쓰레기가 소각 후 매립되는 현실상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퇴비화되는 조건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구체적으로 서울시의 경우 25개 자치구 중 22개가 일반쓰레기를 소각한다고 이들은 설명한다. 서울이나 수도권의 쓰레기를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되는데, 직매립 금지로 일반쓰레기의 경우 각 지자체가 소각 후 매립지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일반쓰레기와 혼합 배출하는 경우 퇴비화되는 과정 자체가 생략되는 셈이다.

허승은 녹색연합 활동가는 “조사결과 일반쓰레기의 경우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22개가 소각 후 그 잔재물을 매립한다”며 “생분해성 소재가 제 역할을 하려면, 예를 들어 58도 온도에서 6개월 이상 퇴비화 조건을 만들어줘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다”고 말했다.

이어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지금의 쓰레기처리 구조상 맞지 않는다”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선 처리구조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반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일반 플라스틱을 시민들이 구분하지 못하고 기존과 같이 분리배출할 경우 오히려 기존 재활용품 선별의 효율성을 떨어트릴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수작업을 통해 각종 플라스틱 종류(PET, PP 등)를 구분하는 영세 사업장의 경우 육안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구분할 수 없을뿐더러, 인력과 금전 문제로 해당 플라스틱을 선별하기 어렵다는 견해다. 결국, 선별장에서 재활용되지 않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소각장으로 직행하게 된다.

재활용 수집·선별 업체 대표 A씨는 “직원들이 육안을 통한 수작업으로 플라스틱 종류를 선별하는데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이라는 명확한 표시가 없어 현실적으로 선별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역시 10만병 규모로 생산 예정인 생분해성 플라스틱 처리에 대한 문제 제기를 인지하고 있다. 해당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업체와 처리문제를 협업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처리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은 없는 실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업체가 별도 수거하는 방안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