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 입장차 좁히지 못해 갈등 심화…2차 간담회 일정 미정

기업은행 본사 전경(본사DB)/그린포스트코리아
기업은행 본사 전경(본사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윤종원 기업은행장이 디스커버리펀드 투자 피해자들과 간담회를 가졌지만 합의가 불발됐다. 윤 행장은 이날 자율조정에 의한 선지급 보다는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에 의한 처분을 따른다며 “분조위와 소송 외에는 다른 배상방안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피해자들은 국회, 금융당국 등을 불사한 강경한 대응을 예고하고 있어 갈등은 격화될 전망이다.

8일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와 윤종원 기업은행장은 오후3시 기업은행 파이낸스타워에서 간담회를 진행했다. 윤 행장은 투자 피해사례를 청취하고 대책위는 행장에 직접적으로 요구사항을 전달하기 위한 자리였으나 양측은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대책위가 이날 간담회서 윤 행장에 제시한 요구안은 △피해자 전원 전액 선배상 △은행장 주관 피해자 공청회 △이사회 참관 및 발언기회 보장 △펀드 도입 판매 책임자 중징계안이다.

이날 윤 행장과 간담회가 길어지며 배상비율 논의는 시도하지 못했으며, 이사회 참관은 불허됐다. 오는 12일에 이사회가 열리나 상정안건에 대해선 공개하지 않았다. 특히 윤행장은 금감원 분조위가 열리고 있는만큼 다른 배상방안과 자체감사는 진행중이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대책위는 기업은행이 피해자들이 투자금 전액에 대한 선배상을 이행해야한다고 주장하며 근거로 기업은행 PB들의 위험미고지 및 확정금리 약속 등의 불완전판매 요소를 들었다.

대책위에 따르면 기업은행 PB들은 판매과정에서 “‘원금보장’을 약속하며 미국이 망하지 않는 한 절대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상품이다”, “6개월 또는 7개월 만기에 3% 확정금리 상품이다”라며 원금 손실 위험을 알리지 않은 채 안전한 상품이라 속여 판매했다고 주장했다.

일부 PB는 이 과정에서 “잘못되면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에서 책임진다”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 대책위가 확보한 판매PB의 진술서와 녹취록에는 해당 PB들이 판매 시 발생한 불완전판매 소지에 대해 인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대책위에서 보유중인 자료에 의하면 각 WM센터에서 직원 간 과도한 경쟁과, 구체적인 판매기법을 본사차원에서 교육하고 홍보한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모 PB는 진술서에서 센터측이 선착순 마감이라는 제한사항을 두고 부득이하게 영업점서 간이투자설명서에 의해 상품을 안내하고 판매했다고 서술하기도 했다. 대책위는 진술서와 녹취록 등은 기업은행과의 합의 경과를 보고 공개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다음 요구사항으로는 윤 행장이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듣는 공정회를 개최할 것과, 기업은행 이사회 발언권 보장이 있다. 끝으로 대책위는 디스커버리펀드를 도입하고 판매한 책임자 오모본부장과 김모팀장에 대해 파면 또는 면직 처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이날 합의보다는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청취하겠다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간담회를 통해 이날 합의가 이뤄진다는 차원보다는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또 디스커버리펀드 선지급안에 대해선 당초 5월 내로 배상비율과 등이 나오기로 했으나 “논의중인 단계로 확정된 바가 없다”고 전했다. 앞서 기업은행은 지난 4월 27일 투자자들을 만나 일부 투자금에 대해 선지급하고 올해까지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을 거쳐 추가 지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윤종원행장이 대책위의 간담회 요구에 응답하며 의미있는 행보를 보였으나 양측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며 갈등이 격화됐다. 양측은 이날 간담회를 계기로 2차 간담회를 가질 전망이나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앞서 기업은행은 지난 2017년~2019년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와 ‘디스커버리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를 각각 3612억원, 3180억원 팔았다. 그러나 미국운용사가 투자했던 채권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각각 695억원, 219억원이 환매중단 됐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