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차 추경 6951억원 중 그린뉴딜에 5867억원 투입
온실가스 저감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저탄소 구조로 변화
녹색기업 창업 지원 등 녹색산업 육성
기후환경 대응 안정망 구축·환경 현안 해결 위한 일자리 창출

환경부가 올해 3차 추경으로 총 6951억원을 편성했으며 이중 5867억원을 그린뉴딜에 편성했다. (본사DB)/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부가 올해 3차 추경으로 총 6951억원을 편성했으며 이중 5867억원을 그린뉴딜에 편성했다. (본사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극복과 이후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환경부가 ‘그린뉴딜’을 중심으로 5867억원의 추가경정예산(이하 추경)을 편성했다.

환경부는 올해 3차 추경으로 총 6951억원을 증액 편성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추경 예산 중 5867억원은 저탄소 구조 전환과 녹색산업 혁신 등 그린 뉴딜 사업에 투입하고 일자리 창출에 624억원, 디지털 뉴딜에 171억원, 기타사업에 289억원이 배정됐다.

환경부는 이를 통해 약 1만7000여개(직접일자리 1만2985개 포함)의 일자리가 새로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추경은 기후·환경 위기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며 하반기에 즉시 착수 가능한 사업들을 대상으로 편성했다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조명래 환경부장관은 “이번 추경에는 그린뉴딜 전략 중 경제 회복 성과 창출이 가능한 단기과제 중심으로 담았다”며 “국회 심의를 거쳐 확정되면 집행 단계에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사업 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탄소 구조로 전환…온실가스 저감 및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우선 온실가스 저감 및 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1235억원의 추경 예산을 배정했다. 저탄소 구조로의 전환을 위해서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전기화물차(1톤)와 전기 이륜차 보급 규모를 2배로 확대한다. 전체 자동차 미세먼지 배출량의 53.4%를 차지하는 경유화물차와 대기오염물질 배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륜차의 저탄소 운송체계를 바꾼다는 것이다. 전기 화물차 보급에는 990억원(5500대), 전기 이륜차 보급에는 115억원(1만대)이 투입된다.

수열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관련 시범사업(20억원)을 착수하고 수열 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연구개발(10억원)도 추진한다. 

정수장과 하수처리장 등 전국 약 5200개의 환경기초시설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설치 사업도 확대한다. 환경부는 환경기초시설 재생에너지 생산 체계 구축에 100억원을 투입해 약 2만톤/일 용량의 공공수처리시설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생산할 예정이다.

 

녹색산업 혁신…녹색기업 성장과 녹색기술 혁신 생태계 구축

환경부는 녹색기업 성장과 녹색기술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4075억원을 투입한다. 세계 녹색산업 시장을 선도할 5대 핵심 분야 지역 거점단지를 조성해 ‘기술력 향상→해외시장 진출→지속가능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을 견인한다는 방침이다. 각 거점단지는 연구개발, 실증 시험공간(테스트베드), 사업화 지원시설 등을 갖추게 되며 지역 인프라와 연계해 녹색산업 육성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녹색기업의 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기업들을 선정해 연구개발 단계부터 사업화까지 밀착 지원한다. 이를 위해 △녹색혁신기업 성장 지원(150억원) △환경새싹기업 육성 사업(60억원) △유망녹색기업 기술혁신 연구개발(53억원)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개발이 완료된 중소기업의 환경기술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사업화 지원 예산을 2.2배 확대하고 기업들의 과감한 투자를 뒷받침하기 위한 미래환경산업 육성 융자도 3300억원 규모로 별도 신설한다.

 

기후‧환경 위기 대응을 위한 안전망 구축

물순환 전 과정을 정보통신·인공지능 기반으로 스마트화해 물·에너지를 절감하고 기후위기 대응역량을 강화한다. 156억원을 들여 물·에너지 이용 최적화를 위한 스마트 광역상수도를 구축하고 지능형 도시수자원 관리 연구개발에 70억원을 투입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인 미래 친환경 도시인 ‘스마트 그린도시’ 조성 사업도 추진한다. 해당 사업은 10대 유형별 혁신기술 마스터플랜 수립 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오염배출원 비중이 큰 제조업 공장을 녹색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사업에도 101억원이 신규 편성한다.

 

직접 일자리 확대 및 환경감시 디지털 전환 추진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재활용폐기물 등 환경 현안 해결형 일자리를 대폭 확대해 1만3000여개의 일자리를 신규 창출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80억원을 투입해 ASF 대응 등 야생동식물보호 및 관리에 744명, 분리배출 취약지역 배출환경 개선에는 422억원을 투입하여 1만843명의 일자리를 만든다.

또한 사물인터넷(IoT)‧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환경오염 측정‧감시 시스템을 디지털 전환하는 사업을 위해 △환경위성을 활용한 대기오염물질 감시체계 구축(141억원) △악취시료 자동채취장치 설치지원사업(30억원)을 편성했다.

마지막으로 중소중화학기업들의 화학 규제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유해성 시험자료 생산 및 등록·승인 전 과정 지원한다. 이와 관련 중소화학업체 화평법‧화학제품안전법 제도이행 지원을 위해 148억원 편성했다.
 

kds0327@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