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공공부문 친환경차 보유비율 12.7%, 구매실적 27.6%
공공부문 의무구매제 강화, 기관별 실적 공개로 보유 비율 높일 계획

올 8월 국내 자동차 생산과 수출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수출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사진은 10일 국회 수소충전소 준공식 당일, 서울시에서 시범운영될 수소택시가 충전을 기다리며 대기 중인 모습. (안선용 기자)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공공부문 친환경차 보유 비율을 90%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사진은 국회 수소충전소에서 충전을 기다리는 수소택시 모습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국내 공공부문 친환경차 보유비율이 전체 차량 대비 12.7% 수준으로 파악됐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공공부문 친환경차 보유 비율을 90%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부문 1,508개 기관의 2019년 친환경차 보유현황과 구매실적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친환경차는 전기·수소차와 하이브리드차를 포함한 숫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공부문은 2019년 말 기준으로 총 11만 8,314대 차량을 보유 중이며, 이 중 친환경차는 1만 4,981대로 전체의 12.7%다.

2019년 한 해 동안 공공부문은 총 1만 5,463대의 차량을 구매했으며, 이 중 4,270대를 친환경차로 구입해 전체 구매차량의 27.6%를 차지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공공부문 친환경차 보유 및 구매실적이 다소 낮은 이유는 실적 집계 시 친환경차 구매가 어려운 산악·오지 운행용 스포츠유틸리티(SUV) 차량과 승합·화물차량 등의 실적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공공부문 친환경차 보유비율(12.7%)은 우리나라 전체 자동차 중 친환경차 비중(2.5%)에 비해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 의무구매제도가 선제적인 수요 창출에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 의무구매비율 달성 못한 지자체 및 공공기관은 과태료 부과 예정

현재 공공부문 친환경차 의무구매제도는 ‘대기환경보전법’과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고 있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들 법을 통합 운영하여 효율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산업부는 공공부문 친환경차 보유비율을 현재 12.7%에서 2022년까지 35%로, 2030년까지 90%로 늘린다. 이를 위해 2021년부터 신차 구매의 80% 이상을 미래차인 전기·수소차로 구매토록 의무를 부과하고, 단계적으로 100%까지 상향한다.

현재 친환경차가 출시되지 않아 의무구매 대상에서 제외 중인 승합자동차(경·소·중형), 화물자동차(덤프형·밴형), 특수자동차 등의 차종도 친환경 차종 출시와 연계하여 대상에 단계적으로 포함된다.

전체 공공부문의 차량 구매실적 및 보유현황을 매년 공개하고, 2021년부터는 기관장 차량 현황도 함께 공개할 계획이다. 의무구매비율을 달성하지 못한 전국 지자체 및 공공기관에는 최대 3백만 원의 과태료를 2021년부터 부과할 예정이다.

금한승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공공부문이 전기·수소차 수요창출의 선두에 서서 미래차 시대를 견인하도록 의무구매제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산업정책관은 “공공부문을 포함해 시장에서 성능이 좋은 다양한 친환경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전기·수소상용차 등 차종 다양화를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