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국내 최대 규모인 100MW급 제주한림해상풍력사업 현장 조감도. (한국전력기술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사진은 국내 최대 규모인 100MW급 제주한림해상풍력사업 현장 조감도. (한국전력기술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어업구역 축소와 해양환경 영향 등으로 보급실적이 더딘 해상풍력에 대해 정부와 풍력업계, 수산업계가 머리를 맞댄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25일 오후 2시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풍력, 수산업계 등과 함께 해상풍력 제도개선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높이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에너지전환 정책의 핵심 과제로 해상풍력 확대를 추진 중이다. 하지만 어업구역 축소와 해양환경 영향 등의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상호 협의를 통한 개선방안의 모색 필요성이 요구됐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사업 추진으로 인한 갈등을 사전에 방지하고 산업 간 상생을 모색하기 위해 3월부터 해상풍력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 등을 논의해 오고 있다.

오늘 협의회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 해양수산부 오운열 해양정책실장, 풍력협회 박희장 부회장, 수협 해상풍력대책위 서재창 수석대책위원장이 참석 해상풍력과 수산업・해양환경의 상생・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그동안 해상풍력 실무협의체에서 논의해 온 개선방안을 심도 있게 검토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에너지전환과 체계적인 해양공간 관리는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과제”라며 “그동안 양 업계에서 요구해 온 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여 빠른 시일 내에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