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사 불완전판매 행위 단속하고 투자자 이해력 높여야

사모펀드 이미지(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개인투자자들은 주로 은행을 통해 펀드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래픽 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개인투자자들의 펀드 가입 창구는 증권사보다 은행이었다. 특히 3명 중 1명은 금융사 판매직원의 권유로 가입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이 성인 2,5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9 펀드 투자자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투자자들이 이용한 펀드 판매사 유형은 은행이 47.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뒤를 이어 증권사 41.3%, 보험사 10.2% 순이었다. 

펀드 투자자의 24.4%는 주거래 금융사를 통해 펀드를 가입했으며 투자자의 34.2%는 자발적 투자보다는 판매직원의 권유로 투자를 결정했다. 자발적 투자는 31.7% 수준에 그쳤다. 지인의 권유로 투자했다는 응답도 19.9%였다.

개인투자자들이 펀드 상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판매사 직원에 의해 가입이 이뤄졌다는 사실이 예측되는 지점이다.

특히 이들 투자자중 판매사에서 투자성향 진단을 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21.2%에 달했으며, 투자성향 진단이 이뤄진 투자자들 중에서도 22.5%는 자신의 투자성향과 관계없는 상품을 권유 받았다고 답했다. 권유하는 상품에 맞는 결과가 나오도록 투자성향 진단을 유도 당했다는 응답도 14.9%였다. 일부 판매사의 판매과정에서 문제가 있음이 의심되는 지점이다.

실제 올해 초 라임자산운용의 환매중단 된 펀드를 판매한 일부 시중은행과 증권사를 중심으로 투자성향진단을 PB가 임의로 체크해 불완전판매 논란이 일기도 했다. 

가입 이후 운용보고서를 읽어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41.4%에 그쳤고, 보고서를 읽었다고 답한 투자자의 23.2%는 내용이 어려워 이해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펀드 가입 후 수익률, 서비스 등에 대한 만족도를 물어본 결과 판매사 및 직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수익률과 비용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이들이 주로 투자한 상품 유형은 주식형(27.3%), 혼합형(27%), 채권형(16.5%), MMF(11.1%), 파생형(8.1%), 부동산 펀드(7.5%)였다.

재단 관계자는 “과거 우리파워인컴펀드 사태부터 작년 DLF 사태에 이르기까지 대규모 펀드 불완전판매 사태가 발생했음에도 투자 과정에서의 판매직원 의존도는 크게 줄지 않았다”며 “펀드 투자 과정에서 펀드 투자자들의 판매직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판매직원들의 불완전판매 행위에 쉽게 노출”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는 미스터리쇼핑 등을 통해 판매직원의 불완전판매 행위를 단속하고 장기적으로는 금융교육 등을 통해 투자자들의 금융이해력을 높여 불완전판매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