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바이오산업 실태 조사해 매년 정책에 반영"

국내 해양바이오
국내 해양바이오 규모 및 종사자 수 (그래픽:최진모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실시한 해양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 국내 시장규모와 종사자수는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지만 고급 전문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관장 황선도)은 2019년 실시한 해양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 2018년 국내 해양바이오시장 규모는 6029억원 수준으로 2016년 5369억원 대비 12.3% 증가했다. 그러나 연간 매출 10억원 이하(28.2%), 50인 미만 사업장(79.9%) 등 영세업체 위주로 분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한 이번 실태조사는 해양생물을 활용하여 상업적으로 유용한 상품을 생산하는 해양바이오 기업 390개와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 154개 등 총 544개 기관을 대상으로 △해양바이오 분야 매출 △인력 현황 △기술 개발 현황 △애로사항 등을 조사했다.

분야별로는 176개(32.3%) 기업이 갑각류나 어류 등을 활용한 오메가3, 키토산 제품 등 식품 분야에 종사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의약품 및 에너지 분야 종사 기업은 2016년 71개에서 2018년 103개로 45% 증가하는 등 고부가가치 분야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나타냈다. 

연구개발비에 투자하는 금액은 의약 분야가 평균 5억5000만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기장비 3억5000만원, 화학 2억30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해양바이오 분야 종사자 수는 2016년 2968명에서 2018년 4943명으로 66.5% 증가했다. 기관 당 평균 근로자 9.3명 중 박사 인력은 0.9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석사는 1.8명, 학사는 6.6명 수준이다.

이처럼 해양바이오 기업들은 생산 활동 관련 애로 사항으로 전문 인력 부족을 가장 많이 꼽았다. 자금 및 연구 정보, 유통 및 판매처 부족 등도 호소했다. 조사 대상 기업의 84.3%는 재직자 혹은 신규 채용자를 위한 자체 교육 프로그램이 없어 인적 자원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반영해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2019년 기준 해양바이오산업 실태조사는 이번 달 15일 부터 10월까지 진행된다.

이번 조사는 관련 정책 추진을 위한 통계적 근거를 마련하고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소 등 시의성 높은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올해는 해양바이오 관련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500여 곳을 직접 방문하고 개별 질의 방식을 수행해 정확도를 높일 방침이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이창수 연구원은 "기업에서 수요가 높은 교육내용을 파악해 전문가를 활용한 단기 교육, 실무 교육 제공 등의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며 "해양수산부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앞으로도 매년 국내 해양바이오산업의 실태조사를 실시해 그 결과를 정책에 지속적으로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