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환경공단과 함께 페트 재생원료 1만톤 공공비축
재활용품 매각단가 조정하는 가격연동제 신속히 적용
수입 페트 등 폐플라스틱의 수입 금지 추진

환경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수출이 급감한 페트(PET) 재생원료에 대한 공공비축을 시행한다. (그린포스트코리아DB)/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수출이 급감한 페트(PET) 재생원료에 대한 공공비축을 시행한다. (그린포스트코리아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수출이 급감한 페트(PET) 재생원료에 대한 공공비축을 시행한다.

환경부는 국내 경기침체와 유가 하락 등으로 가장 적체가 심한 재활용품인 페트 재생원료 1만톤 공공비축을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는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페트 재생원료의 경쟁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페트 재활용업체 재생원료 판매량은 1~3월 평균 1만6855톤에서 지난달 9116톤으로 46% 급감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확산됨에 따라 지난달부터 페트 재생원료 수출이 급감하면서 유럽과 미국 등 수출의존도가 높은 페트 재생원료의 매출도 감소도 가속화됐다. 현재 페트 재생원료 가운데 60∼70%가 수출되며 이 중 10%는 원료, 50∼60%는 가공 후 수출된다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이에 페트 재생원료 업체의 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는 페트 재활용업체 23개 중 생산량의 77%를 차지하는 주요 8개소를 모니터링 한 결과 4월 1주 57.8%에서 2주 60%,  3주 64.6% , 4주 69.9%, 5주 72.9%로 지속적으로 재고가 증가 중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재활용폐기물의 유통 구조상(배출-수거-선별-재활용-수요처) 선별, 수거 단계까지 연쇄적 시장경직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환경부는 지난달 22일 페트 재생원료 공공비축을 결정하고 27일부터 29일간 총 23개 재활용업체 현장점검을 거쳐 현재 재고량인 1만8000톤 중 1만톤을 공공비축한다. 이는 4월 페트 순적체 증가량인 약 5000톤의 2배 수준이다. 

이번 공공비축은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에서 환매를 조건으로 시중 단가의 50%에 선매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환경부는 이를 통해 재활용업계의 자금 유동성 확보와 재활용품 유통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는 공공비축과 함께 업계와 신규 수요처를 발굴해 나가면서 폐기물 또는 재생원료의 수입제한도 추진한다. 수거 단계에서 재활용품 매각단가를 조정하는 가격연동제도 신속히 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우선 신규수요처 발굴을 위해 수출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수입되는 재생원료가 국내 재생원료로 대체될 수 있도록 재생원료 최종수요처 및 재활용업계와의 업무협약(MOU) 체결 등을 추진한다.

2월부터 추진해 온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시범사업과도 연계한다. 투명 폐페트병이 의류제작 등에 사용되는 고품질 재생원료로 생산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플라스틱 재생원료 활용 확대를 위해 국내 원료로 대체 가능한 수입 페트 등 폐플라스틱의 수입을 금지하기 위한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를 이달 중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공공비축 실시 첫날인 7일 경기도 화성시의 페트 재활용업체인 새롬이엔지를 방문해 공공비축 현장을 점검했다. 

조명래 장관은 “국민 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재활용시장 전체를 면밀히 점검하여 현장에 맞는 대책을 준비하고 적기에 추진해 나가겠다”며 ”코로나19로 불안정성이 높아진 만큼 최악의 상황도 고려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