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전국 곳곳에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로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높다. 최근 건설에 난항을 겪고 있는 지역은 크게 세 곳을 꼽을 수 있다. 충북 청주 SK하이닉스 LNG열병합발전소와 음성 LNG발전소, 서울 강서구 마곡 LNG열병합발전소가 그곳이다.

LNG발전소 건설을 추진하는 주체인 SK하이닉스와 한국동서발전, 서울에너지공사는 저마다의 이유를 내세운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정전에 따른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동서발전의 경우 친환경 LNG연료를, 서울에너지공사는 2030년 이후 안정적인 열 공급이 필요하다는 등 나름의 논리를 가지고 있다.

주민들 역시 LNG발전소 건설에 무작정 반대를 하는 것은 아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시민, 더 나아가 국민들이 사용하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가 아닌 기업의 이익을 위해 건설하는 발전소로 자신들의 환경권이 저당 잡히는 것에 크게 반발한다. 여기에 건설 예정 부지가 청주 도심(충북도청)과 불과 9km 채 안 되는 거리에 위치해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말한다.

음성의 경우 인근 음성여자중학교와 평곡초등학교의 거리가 불과 800m 채 안 된다. 미래 세대인 아이들이 교육을 받는 곳 바로 옆에 발전소 건설은 말이 안 된다는 태도다.

상황이 이렇지만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는 주체들은 LNG가 석탄화력에 비해 ‘친환경’임을 강조한다. 이와 함께 발전소에서 나오는 유해 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저감장치 등을 설치해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한다.

하지만 주민들은 고개를 젓는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최근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사단법인 에너지전환포럼은 국내 석탄발전소 61기와 LNG 발전소 59기의 2018년 전력생산량과 오염물질 배출량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력량 1GWh를 생산할 때 석탄발전은 평균 438.5kg의 먼지와 질소산화물 등 대기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했다. 이에 비해 LNG발전은 평균 138.1kg만 배출해 큰 차이를 보였다.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도 마찬가지다. 전력량 1GWh를 생산하는데 석탄발전은 평균 98.4㎏ 초미세먼지가 배출됐지만 LNG 발전은 10.9㎏에 불과했다. 즉, 대기오염물질의 경우 LNG발전소가 석탄화력발전소에 비해 1/3.2 적고 초미세먼지의 경우 1/9 수준이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선 생각을 한번 해볼 필요가 있다. 정부와 일부 단체에선 LNG발전소를 친환경이라고 말하지만 이는 석탄화력발전소와 비교해 그 배출량이 적다는 것일 뿐이지 질소산화물과 초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이 배출이 ‘0’이라는 것은 아니다. 정확히 석탄화력발전에 비해 ‘친환경적’일 뿐이지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은 아니라는 말이다.

최근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주민들 역시 이러한 생각을 하고 있다. 취재를 통해 환경단체나 주민들을 만나 이야기해 보면 신규 오염발생원이 생기는 것을 문제 삼고 있다. 그들 역시 만약 기존에 석탄화력발전소가 있었고 이를 LNG연료로 전환한다면 대기오염물질과 초미세먼지 배출량이 감소해 당연히 환영할만한 일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해당 지역에서 논란의 중심에 있는 발전소는 신규 건설이다. 친환경이라는 ‘무기’를 앞세운 채 단 1이라도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발전소를 주민들에게 수용하라는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발전소 건설 주체와 주민들의 시각 차이가 극명함에도 정부는 여전히 친환경 연료로서 LNG발전소를 언급하는 게 전부라는 점이다. 전 국민적의 관심사로 떠오른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배출이 적다며 LNG발전소의 당위성을 내세울 뿐 깊어진 갈등의 골이나 분쟁을 해결할 의지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그저 허공에 ‘친환경’이라는 말만 되풀이할 뿐이다.

이는 마치 환경영향평가 동의 또는 조건부 동의나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에서 LNG발전소 건립승인 등 행정적 절차에만 치중하며 ‘강 건너 불구경’하고 있는 모습이다.

대표적으로 논란의 세 지역 중 한 곳인 청주 SK하이닉스 발전소의 경우 현재 환경단체를 비롯한 주민들이 환경부 앞에서 천막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의 목적은 단순하다. 환경부 장관과의 면담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전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묵묵부답’이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해 정부는 언제까지 뒷짐만 지고 있을지 의구심이 드는 대목이다.

발전소 건설 주체와 예정 부지 주민들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주체는 정부밖에 없다. 건설 주체가 기업이든 발전사든 이를 중재할 수 있는 것도 정부고, 만약 신규 발전소가 건설된다면 주민들에게 적절한 보상과 향후 피해 예방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있는 것도 정부뿐이다. 그저 석탄화력발전소와 비해 친환경이란 말만 되풀이할 뿐 앞으로도 뒷짐만 지고 있다면 향후 적법한 절차를 거쳐 발전소가 건설된다고 해도 주민들의 반발은 계속될 것이다.

kds0327@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