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기업 아닌 산업계 차원에서 역량 집합

조인트 벤처, 민·관 공동펀드 등 설립 방안 논의

서울 서초구 방배동 제약바이오협회 전경 (제약바이오협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서울 서초구 방배동 제약바이오협회 전경 (제약바이오협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민선 기자] 제약바이오산업계가 사상 첫 ‘공동출자·공동개발’을 추진한다. 이로써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신종 감염병 치료제 등을 비롯한 글로벌 신약 개발 성과가 보다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1일 이사장단 회의를 열고 코로나19와 관련해 △치료제 및 백신 개발 동향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환경 변화 전망 △제약 자국화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산업계의 역할과 과제 등을 주제로 심도있게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기업들이 치료제와 백신 개발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산업계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국민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기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2, 제3의 코로나19가 빈번하게 발생할 것이라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전망을 토대로 개별 기업이 아닌 산업계 차원에서 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신종 감염병 치료제를 비롯한 신약 개발에 전력투구하기 위한 공동 출자, 공동 개발을 추진하자는데 의견을 모은 것.

이를 위해 참석자들은 기업들이 공동 투자하는 조인트 벤처(합작회사)를 설립하거나, 유럽의 IMI(혁신의약기구)와 같은 민·관 공동펀드를 설립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제약바이오협회 홍보조사팀 관계자는 “신약개발 자체가 장기간 거액 투자해야 되는 사업인 만큼, 공동 R&D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며 “유한양행의 레이저티닙이나 부광약품의 당뇨병 신약 등 성공적인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가 늘어난 만큼 협회에서도 전문가들과 협의를 거쳐 공동 출자, 공동 개발 방안을 구체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과거 어느 때보다 신약 개발을 위한 회원사간 공동 R&D의 분위기가 무르익은 만큼, 국산 신약을 만들어 이익이 나면 함께 나누고 실패하면 리스크를 함께 부담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원희목 회장은 “다수의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전 인류의 생명과 동시에 국부 창출을 위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다”면서 “앞으로도 반복될 수 있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획기적인 발상 전환을 통한 산업계의 공동 연구개발 노력과 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함께하는 범국가적 에너지를 총결집해야 한다”고 말했다.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