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가스 줄이고 대기전력 차단...지구 살리는 작은 습관
꼼꼼한 재활용 실천,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덜 버리기’
대표 ‘환경템’ 에코백과 텀블러...정말 환경적으로 사용 중인가?

경기도의 한 대형마트 자율포장대 근처에 쌓여있는 박스 더미 모습. 만약에 이 박스더미를 모두 분리배출하면 재활용이 잘 이뤄질까? 그러려면 테이프를 모두 깨끗하게 제거해야 한다. 사진은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사진 속 매장과 박스 브랜드 등은 기사 속 특정 내용과 관계없음 (이한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환경부 등은 지구의 날 전후 일주일을 '기후변화주간'으로 정해 소비자들에게 '환경적 실천'을 권한다. 거창한 내용이 아니라 생활 속 작은 습관을 바꾸자는 것이다. 배출가스와 쓰레기를 줄여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습관들을 기자가 먼저 실천해봤다. 사진은 경기도의 한 대형마트 자율포장대 근처의 박스더미 모습.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환경부 등은 2009년부터 매년 지구의 날(4.22)을 전후한 일주일을 ‘기후변화주간’으로 정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저탄소생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 실천을 유도하자는 취지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민간단체와 기업 등과 연계해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한다.

올해도 4월 22일부터 4월 28일까지 일주일간이 기후변화주간이다. 환경부 등은 5가지 내용을 실천하자고 권한다. 대중교통 이용하고 가까운 거리는 걷기, 안 쓰는 가전제품 플러드는 뽑아두기,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는 분리배출하고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를,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자는 권고다.

사실 새로운 제안은 아니다. 오래전부터 강조된 내용이고, 일부는 최근 들어 잘 지켜지고 있다. 반면 여전히 잘 안 지켜지는 부분도 있고, 일부에서는 ‘그 내용을 실천하더라도 이면에서 또 다른 환경 문제가 제기된다’고 주장하는 것들도 있다.

저 내용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은 쉬울까? 만일 부지런히 실천한다면 환경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4.15일 총선 이후부터 어제까지, 기후변화주간보다 일주일 먼저 기자가 직접 실천해봤다. 환경 기자의 지난 일주일은 기후변화에 좋은 영향을 미쳤을까?

◇ 배출가스 줄이고 대기전력 차단...지구 살리는 작은 습관

한가지 전제할 것이 있다. 지금이 평소와 다른 ‘코로나 시국’이라는 점이다. 사회적으로 거리를 두어야 하고, 감염 우려를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쓰는 물건이나 공간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 지난 총선에서 유권자들에게 일회용 비닐장갑을 제공한 것이 상징적인 장면이다. 수천만개의 비닐장갑이 버려지는 것은 환경적으로 큰 문제지만, 지금은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더 큰 숙제라는 인식도 함께 존재한다.

첫 번째 과제는 ‘대중교통 이용하고 가까운 거리는 걷기’다. 기자는 이 부분을 제대로 실천하지 못했다. 좁은 공간에 불특정다수가 모인 상황을 가능하면 피하고 싶어서 주로 승용차를 이용했다. 가까운 거리를 걷기보다는 외출 자체를 삼갔다. 마트에 가는 대신 온라인 쇼핑을 활용했고 카페에 가는 대신 집에서 캡슐커피를 내려 마셨다. ‘거리두기’에는 효과적이겠지만 환경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친 것 같다.

자동차 운행을 줄이는 것은 배출가스와 직결된다. 그린피스 이인성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올해 2~3월에는 국내 대기오염이 소폭 개선됐다”고 말하면서 “중국에서 화석연료 사용량이 감소하면서 국외발 유입물질이 줄었고, 국내에서도 자동차 통행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대기오염이 전체적으로 개선된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 공장과 더불어 국내 자동차 통행량을 기후변화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본 것이다.

코로나19가 교통량을 줄이는 데만 기여한 것은 아니다. 그린카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2월과 3월 카셰어링 서비스 주중 이용률이 전월 대비 21%, 전 동기 대비 51% 늘었다. 공유경제 확산 흐름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밀집된 환경의 대중교통 이용에 부담을 느낀 직장인들이 주중 출퇴근용으로 이용하면서 건수와 대여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쓰지 않는 가전제품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은 비교적 잘 실천했다. 출근할 때 플러그를 빼면 되니까 어렵지 않은 일이었다. 재택근무 시절에는 노트북과 태블릿, 공기계 등을 멀티탭에 모두 꽂아두고 여러 화면을 한꺼번에 보면서 일했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가 않다.

외출할 때, 집에 머물지만 가전제품 사용을 오랫동안 하지 않을 때는 플러그를 뽑아 대기전력 낭비를 줄아는 게 좋다. PC나 스마트폰을 습관적으로 충전기에 연결해두거나 오랫동안 보지 않는 TV, 사용이 끝난 유선청소기나 제습기 등의 플러그를 뽑아두는 게 좋다. 특히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는 하루 종일 충전기를 연결하는 것 보다는 완충된 상태서 전원연결을 해제하는 것이 배터리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추석을 앞두고 온실가스 줄이는 친환경 명절습관을 소개했다. 당시 서울시는 “사용하지 않는 전기 플러그만 뽑아도 전자제품 대기전력을 6% 차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과거 한국전기연구원은 “전국 일반 가정에서 낭비되는 대기전력이 61만 8,000만kW에 달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연구원측은 “화력발전소 1개의 전력생산량을 웃도는 양으로, 돈으로 환산하면 1년에 4160억 원의 전력이 낭비되는 셈”이라고 밝혔다.

자동차를 덜 타는 것, 플러그를 뽑는 것은 작은 실천이다. 나 혼자 빠져도, 나 혼자 실천해도 대세에는 큰 지장이 없다. 하지만 그런 마음을 가져서는 변화를 만들 수 없다. ‘나 하나쯤이야’ 라는 마음을 버리라는 것은 아주 어릴 때 배운다. 작은 힘이 모이면 큰 물결이 된다. 환경 이슈에서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청년들이 현재의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모색한다.
공장의 굴뚝에서 내뿜는 연기들만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타는 자동차, 집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 매일 버리는 쓰레기와 수시로 사용하는 일회용품 모두가 기후위기의 주범이다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 꼼꼼한 재활용 실천,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덜 버리기’

재활용 분리배출은 꾸준히 실천 중이다. 하지만 여전히 풀기 어려운 숙제다. 일반 종이와 코팅된 종이, 오염된 종이를 구분해야 한다. 플라스틱 용기도 깨끗하게 사용된 것과 음식물 등으로 오염된 것을 처리하는 방법이 다르다. 종이박스를 버릴때도 접착용 테이프가 붙어 있으면 안 된다. ‘귀찮음’과 싸워야 하고 내가 잘못 배출해 재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폐기되지 않도록 꼼꼼하게 챙겨야 한다.

지난 며칠간 두 가지 문제가 있었다. 하나는 20일 저녁에 주문해서 먹은 매운찜닭 용기다. 흰색 플라스틱 용기에 고추기름이 잔뜩 배어 있었다. 깨끗하게 닦아서 재활용하려고 했으나 무리였다. 이미 배어든 기름기와 빨간 양념색이 완전히 지워지지 않았다. 결국 너비가 세뼘 가까이 되는 커다란 플라스틱 용기를 일반쓰레기로 버려야했다.

10리터짜리 쓰레기봉투 하나에 꽉 차는 크기였다. 용기 하나로 봉투를 쓰려니 아까워 가위로 조각조각 잘랐다. 그리고 쓰레기봉투에 눌러 담았더니 날카롭게 잘린 면이 봉투를 찢고 나왔다. 결국 쓰레기봉투 하나를 더 썼다. ‘어떻게 버리느냐’가 물론 중요하지만 ‘덜 쓰는 것’이 더 중요한 숙제라는 결론을 다시 깨달았다.

21일에는 국내 한 브랜드의 페트병을 버리면서 아쉬움이 남았다. 해당 브랜드 페트병에는 ‘환경을 지키는 습관! 라벨과 페트를 분리해서 재활용해주세요!’라는 문구가 적혀있었다. 당연한 얘기다. 기자는 이미 알고 있다. 그런데 이 페트병 라벨은 절취선을 따라 뜯으면 페트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병에 단단하게 붙어 있어 제대로 떼어지지 않는 라벨이 여전히 많은 가운데, 아이디어가 돋보였다.

하지만 그 아이디어가 정말로 ‘환경적’인지는 의문이 들었다. 왜냐하면 라벨이 병 전체를 덮고 있었기 때문이다. 직접 재보니 라벨 세로길이는 17Cm였다. 병 높이가 약 22.5Cm였다. 쉽게 말해 뚜껑 바로 아래부터 병 아래 1~2Cm지점을 제외하면 모두 라벨이었다. 라벨을 함께 뜯던 가족도 “뜯기 쉽게 만들게 아니라 라벨을 덜 써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덜 버리고 제대로 버리는 것은 모두의 숙제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절실한 숙제는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환경부도 여러 차례에 걸쳐 “(쓰레기는) 재사용이나 재활용이 핵심이 아니라 배출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라고 밝힌 바 있다.

텀블러는 환경적이지만, 텀블러 여러개를 돌려쓰는 것은 환경적이지 않을 확률이 높다. 용맹하지만 '애정 결핍'에 걸린 가상의 전사 텀블러와 그 동료(?)들의 사진. 저 텀블러의 주인이 기자인지 아닌지는 프라이버시상 비밀이다. (이한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은 환경에 이롭다고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텀블러를 소유하는 것은 과연 환경적일까. (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 대표 ‘환경템’ 에코백과 텀블러...정말 환경적으로 사용 중인가?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도 실천 중이다. 접으면 포켓사이즈가 되는 장바구니와 용량이 크고 무거워서 가방에 넣고 다니기 불편하지만 그래도 한번에 많은 양을 담을 수 있는 커다란 텀블러를 매일 가지고 다닌다.

기자는 지난해 대만을 방문했는데, 대만은 순환경제 시스템이 비교적 잘 갖춰진 나라로 꼽힌다. 그곳에서 커피 찌꺼기를 활용해 만든 에코백을 구입해 사용하고 있다. 텀블러를 사용한지도 수년째다.

여기서 한가지 따져볼 것이 있다. 에코백과 텀블러가 정말로 비닐봉투나 일회용컵보다 환경적인지다. 당연히 그럴 것처럼 여겨지지만 한가지 변수가 있다. 에코백이나 텀블러를 구입해놓고 사용은 잘 하지 않는 경우다.

뉴욕타임즈는 지난해 “면화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비료와 살충제 등이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수질오염을 일으킨다”고 지적하면서 “일회용 비닐봉지보다 환경 영향을 적게 미치려면 에코백을 131회 정도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영국 환경부도 비슷한 지적을 한 바 있다. 종이봉투가 일회용 폴리에틸렌 비닐봉지보다 더 적은 환경 영향을 미치려면 최소한 3번 이상 재사용해야 한다는 것.

텀블러도 마찬가지다.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 튼튼한 텀블러를 1개 생산하거나 없애는 과정에서는 종이컵이나 플라스틱컵 1개보다 더 많은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텀블러가 일회용 컵보다 분명히 환경적이려면 오래, 많이 사용해야 한다.

KBS와 기후변화행동연구소가 함께 연구한 바에 따르면, 300ml 용량 텀블러를 매일 1번씩 사용하면 2주 만에 플라스틱컵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한다. 한 달이 지나면 종이컵 온실가스배출량보다 적어진다. 6개월 후에는 플라스틱 컵 온실가스 배출량이 텀블러의 약 12배가 된다. 물론 플라스틱컵 또는 종이컵 역시 매일 1번씩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다.

에코백이나 텀블러 1~2개를 꾸준히 가지고 다니면서 비닐봉투나 일회용컵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환경적’이다. 반대로 에코백이나 장바구니를 여러개 가지고 있으면서 정작 쓰지는 않는다면, 디자인 등에 혹해 텀블러를 여러개 사놓고 서랍장에 진열만 해두면서 일회용 봉투와 컵을 들고 다닌다면 그 사람은 오히려 환경에 더 나쁜 영향을 끼친 셈이다.

고백하자면, 과거의 기자도 그랬다. 텀블러는 20종이 넘고 에코백과 장바구니도 10개가 넘는다. 그 시절을 반성하고 지금은 텀블러나 에코백을 구매하지 않는다.
 
지구는 위기에 처했다. 나 혼자서는 지구를 구할 수 없다. 하지만 내 힘이 미약하다고 손을 놓는 사람이 많아지면 지구는 더 빨리, 더 많이 위험해진다. 당신도 지구를 구할 수 있다. 아니, 당신 역시 지구를 구해야 한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