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코로나발 경제침체로 한전과 두산중공업 등의 인도네시아  석탄화력사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린포스트코리아DB)/그린포스트코리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코로나발 경제침체로 한전과 두산중공업 등의 인도네시아 석탄화력사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린포스트코리아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코로나발 경제침체로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가 자국 내 민자석탄화력사업의 전력구매약정의 재협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력과 두산중공업, 중부발전 등이 투자했거나 투자 예정인 인도네시아 석탄화력사업에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리다물리야나(RidaMulyana) 전력실장은 이달 초 개최된 영상회에서 “인도네시아 국영전력회사인 피엔엘(PT. PLN)의 의무구매조항은 현 사태로 인해 이행하기 어려워졌다”며 “민자발전소들과 피엘엔 사이의 계약을 재협상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

스리 물리야니(Sri Mulyani) 인도네시아 재무부 장관이 코로나바이러스로 마이너스 0.4%의 경제성장률을 전망한 가운데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 역시 이러한 전망이 기존 전력구매계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미국 소재 씽크탱크인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도 8일 발간한  ‘PLN 위기 : 민자발전사업자들의 고통분담이 필요한 때’ 보고서에서 유사한 분석을 한 바 있다. 해당 보고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피엘엔의 재무부담이 늘어나면서 한국전력이 추진 중인 자바 9·10호기 사업도 계획대로 진행될지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피엘엔은 그간 민자발전소들을 유치하기 위해 실제 전력을 사용하는지와 관계없이 전력구매대금을 지급하는 전력구매계약(PPA)을 한국, 일본 등 주요 민간 발전사업자들과 맺어왔다. 해외투자자들이 인도네시아 국영전력회사의 지급보증을 믿고 투자를 결정하게끔 한 것이다.

보고서는 “그 결과 민자발전산업(IPP)이 빠르게 늘어나는 중”이라며 “2021년 말까지 7365MW의 추가설비가 자바-발리 전력망 내에 늘어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인도네시아 에너지자원부 리다물리야나 전력실장도 “자바-발리 계통이 41.5%의 예비력을 확충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인도네시아전력 수요가 공급을 따라가지 못해 피엘엔의 재무부담이 심화될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로 피엘엔의 재무부담은 더욱 가중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보고서는 “지난해 인도네시아 전력수급계획상 수요전망은 2015년보다 평균 34.2% 낮아졌다”며 “전력수급계획의 수요전망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2021년 피엘엔의 운영비용 중 민자발전소로부터의 전력구매비용 비중이 가장 클 것으로 분석했다. 그 이유로 전기의 구매 여부와 관계없이 피엘엔이 전기대금 지급의무를 부담한다는 점을 들었다. 

보고서는 “수정된 경제성장률을 반영했을 때 피엘엔에 지급돼야 할 정부 보조금이 2021년까지 85% 급증해 미화 72억달러(약 8조7000억원)가 될 것”이라며 “피엘엔의 재무부담을 인도네시아 정부가 감당할 수 없으므로 민자발전사업자들과 고통 분담이 필요할 것이고 지연 중인 인도네시아 자바 9·10호기와 같이 자바-발리 계통에 불필요한 용량을 더하는 사업을 보류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기후솔루션 관계자는 “한전이 참여하는 인도네시아 석탄화력발전사업은 환경적 측면은 물론 경제적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는 사업”이라며 “이번 IEEFA 보고서 결과가 한국개발연구원(KDI) 내부적으로 회람이 되면 향후 한전의 사업이 계속 진행될지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