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에이올코리아 박재현 대표이사와 한국화학연구원 이미혜 원장이 에너지 최소화 제습 냉방기 및 건조 공기 시스템 기술이전 협약식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왼쪽부터) 에이올코리아 박재현 대표이사와 한국화학연구원 이미혜 원장이 에너지 최소화 제습 냉방기 및 건조 공기 시스템 기술이전 협약식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한국화학연구원이 기존 대비 전력소모량의 50% 이상을 줄일 수 있는 ‘제습 냉방기’와 ‘건조 공기 제조 시스템’의 사업화를 추진한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제습 냉방 및 건조공기 기술의 핵심인 ‘MOF 제습제’ 관련 기술을 ㈜에이올코리아에 이전하는 기술이전 협약식을 8일 가졌다.

금속과 유기물질을 결합한 ‘금속유기골격체(MOF)’를 활용한 MOF 제습제는 나노 크기의 미세한 구멍이 수없이 난 수분 흡착제다. 마치 혈액을 순환시키는 심장처럼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고 내뱉고 재생되는 특성을 통해 약간의 전기만으로도 제습 냉방기와 건조 공기 제조 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 에어컨은 여름철 피크 전력 문제는 물론 도심 열섬화의 주범으로 알려졌다. 실내 냉방을 위해 공기 중 잠열이 높은 수분을 먼저 없애고 실내를 냉각하기 때문에 실내 체감온도는 낮아지고 20~30%의 전기를 추가로 써야 한다.

하지만 초절전 제습 냉방기는 ‘실외기 없는 에어컨’으로 MOF 제습제를 이용, 공기 중 수분을 없앤다. 또한 쓰다 남은 70℃ 이하의 폐열을 이용해 수분을 머금은 제습제를 건조·재생시켜 전기 사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실리카겔과 제올라이트, 활성 알루미나 등의 기존 상업용 제습제는 적어도 100~200℃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재생된다.

MOF 제습제는 기존 실리카겔 제습제 대비 전력소모량이 50% 이상 절감되는 동시에 성능은 55% 이상 높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건조 공기 제조 시스템인 일명 ‘에어 드라이어(Air Dryer)’는 조선 및 자동차산업을 비롯해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 첨단 전자산업현장에서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해 쓰이는 제습장치이다. 

에어 드라이어는 산업현장의 공기를 압축한 후 압축된 수분을 제거해 건조한 공기를 만든다. MOF 제습제는 압축된 공기의 수분 제거에 쓰인다. 기존 제습제는 180~220℃의 고온에서 재생되지만 MOF 제습제는 압축기의 폐열(120℃) 이하의 온도에서 재생되고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전기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장종산 박사는 “화학연구원의 기술은 태양열과 저온 폐열을 이용할 수 있는 MOF 제습제 기술로 실외기가 필요 없는 냉방, 에어 드라이어의 건조공기 제조 등에 응용성을 갖고 있어서 온실가스 저감과 환경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MOF 제습제를 적용해 에이올코리아가 개발 중인 제습 냉방·건조공기 시스템의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