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인 분석을 위해 정밀조사를 진행 중이다.(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인 분석을 위해 정밀조사를 진행 중이다.(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지난해 말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시설에서 발생한 방사성 물질 방출 사고는 자연증발시설의 배수시설이 승인받은 것과 다르게 설치·운영됐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특히 수십 년간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됐지만 그간 아무도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1월 21부터 실시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이하 원자력연) 자연증발시설 방사성물질 방출사건’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원자력연에 통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원안위는 방사성물질이 방출된 원인을 자연증발시설의 배수시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승인받은 설계와 다르게 설치·운영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자연증발시설은 극저준위 방사성 액체 폐기물(185Bq/ℓ 이하)을 저장한 뒤 자연 증발시키는 건물이다.

조사 결과, 실제 현장에는 인허가 받은 설계에는 없는 외부배관으로 연결된 바닥배수탱크(600ℓ)가 설치돼 있었다. 이 시설은 1층의 일부 배수가 바닥배수탱크로 연결된 상태로 1990년 8월부터 사용, 매년 4월~11월경 운영됐다.

CCTV 영상과 재현실험 등을 통해 방출량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9월 26일 필터 교체 후 밸브를 과하게 연 채 미숙하게 운전하여 집수로에서 액체 방폐물이 넘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액체 방폐물이 외부로 약 510ℓ 누출됐다.

문제는 그간 운전자들조차 지하저장조 외에 바닥배수탱크가 별도로 설치된 상황을 몰랐다는 점이다. 이들은 1층의 모든 배수구가 지하저장조와 연결돼 폐순환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또한 매년 11월경 겨울철 동파방지를 위해 운영을 중단하고 모든 액체 방폐물을 지하저장조로 회수하는 과정에서 연간 470~480ℓ 방폐물이 바닥배수탱크로 유입, 외부로 나온다는 사실도 새롭게 드러났다.

다만 겨울철 이후에는 방사성 물질 대부분이 우수관 표면이나 하천토양 등에 흡착되면서 2019년 4분기 이전에는 외부 방사선 환경조사에서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지난해 4분기에 확인된 25.5Bq/kg이라는 특이값은 10~11월 사이 강수량이 많아 일부 방사성물질이 부지 외부로 흘러 나간 게 원안위의 설명이다.

원안위는 원자력연의 전사적 관리체계와 설계기반 형상관리 미흡, 수동식 운영체계, 안전의식 결여가 이번 사고의 근본원인으로 분석했다.

이와 함께 원자력연의 100여개 원자력 및 방사선이용시설의 인허가 사항 및 시공도면과 현재 시설 상태 간 차이 여부를 전면조사하는 한편 원자력 연구원 내 환경방사선(능) 조자 시점 확대, 방폐물 관련 시설의 운영시스템 등을 최신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안전관리 조직의 총괄 기능을 강화하고, 외부기관이 주관하는 안전문화 점검을 하는 등 시설 안전강화 종합대책의 세부이행 계획을 수립해 원안위에 보고토록 했다.

원안위는 자연증발시설 등 핵연료주기시설에 대한 정기검사 횟수를 두 배로 확대하는 한편  원자력연에 대한 현장 상시점검을 위한 전담조직을 설치할 방침이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