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40 목표 신정책방향제시...‘하수도정비기본계획’ 정비 착수
하수도 정책포럼 통해 신규 정책‧전략 도출...1년간 134명 참여 논의

글로벌 물연구 마을(클러스터) 조감도. (사진 서울시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글로벌 물연구 마을(클러스터) 조감도. (사진 서울시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서울시가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하수도 장기종합계획인 ‘2040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작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해 2022년 1월까지 계획수립을 완료 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은 하수도 및 분뇨처리시설의 계획적·체계적 정비를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계획이다. 20년 단위로 목표를 수립하며 필요시 5년마다 도시 여건변화를 반영해 하수도 정책 전반을 재검토해 변경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60년간 하수도 보급률 100%의 비약적 성장을 이뤘다”며 “생활하수 등 하루 498만톤을 하수관로(약 1만700여㎞)를 통해 물재생센터로 이송, 하수를 전량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수도는 사용하고 버리는 오염된 물이나 분뇨, 빗물, 지하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로, 오염물질이 제대로 배출, 처리되지 못하면 도시위생을 위협하고 악취, 침수, 하천오염 등 시민불편을 가중시키는 등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반시설이다.
  
서울시는 최근 기후변화로 하천오염, 수해, 악취 등 도시 안전·환경 개선에 대한 시민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해 1월부터 하수도 및 유관 분야 전문가, 시민 등 134인으로 구성된 ‘하수도 정책포럼’을 운영했고 총 63회 회의개최를 통한 집중 논의 끝에 기본계획에서 우선 검토해야 할 주요 과제를 도출했다.

하수도 정책포럼은 서울시 하수도 분야 논의집단으로 △하수도 비전 △시민체감형 정책지표 △서울형 하수배제시스템 △스마트 기술 융합 △하수도 자원재생 및 생산 △물재생센터 현대화 △시민소통 등 7개 분과에서 서울시 미래 하수도 정책방향을 고민하고 과제로 제시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를 반영 한 기본계획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물재생센터(하수처리시설) 분야며 두 번째는 하수관로 분야다. 먼저 물재생센터 분야는 하천에 녹조를 유발하는 오염물질 제거를 통한 수질개선, 체계적인 하수 재이용·에너지 생산·친환경 자원 활용 방안, 분산형 물재생센터 운영, 환경 개선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하수관로 분야는 정화조 없는 하수도 구현, 스마트 기술 활용 기준, 그린 인프라 확대계획 및 시설물 장수명화·하수 이송기능 강화, 노후, 불량에 따른 도로함몰·침수·악취 등 문제 해소방안이 포함된다.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을 ‘2040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담아 2022년 1월까지 확정할 예정이며 목표한 단계별 계획을 완성시켜 수질, 악취, 안전 등 복합적 문제를 해소하고 도시환경 선도 시설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이정화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이번에 수립하는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이 2040년까지 서울 하수도 정책 나침반이 되는 만큼 달라지는 도시 여건변화를 꼼꼼히 반영·검토해 체감도 높은 정책을 이끌어 낼 계획”이라며 “적재적소에서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하수도 정책대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