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정부기관 등 신물질 발굴·치료영역 확대 R&D 박차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민·관 협력 강화 절실…한국형 파트너쉽 모델 세워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과 정부기관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위해 역량을 모으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긴급 이사장단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총력 대응하기로 결의하는 모습 (협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과 정부기관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위해 역량을 모으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긴급 이사장단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총력 대응하기로 결의하는 모습 (협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과 정부기관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위해 역량을 모으고 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향후 유사 감염병 사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을 강화하고 민·관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결과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15개사가 코로나19 예방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거나 준비중이다. 협회는 이와 더불어 4곳의 정부기관도 자체적으로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예방 백신의 경우 GC녹십자,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기존 독감백신 등 개발 역량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치료제의 경우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후보물질을 발굴하거나, 기존에 출시했던 의약품에서 코로나19에 효능이 있는지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내 정부기관과 연구소, 제약사 등이 힘을 모으는 민관협력 모델도 활성화되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방역에 필요한 신속진단제와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근 8개 연구 과제를 공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백신·치료제 개발이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려운 만큼 이 같은 민·관 협력은 개발 속도를 크게 앞당기고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협회 등은 기대하고 있다.

◇ “민·관 협력 강화 절실…한국형 파트너쉽 모델 세워야”

협회 측은 이에 더해 “유럽 혁신 의약품 이니셔티브(IMI), 미국 국립보건원 AMP(신약개발 촉진협력) 등 민·관 협력이 활발한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해 백신·치료제 개발 시기를 앞당기고 개발 완료 가능성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IMI는 유럽연합집행위와 유럽의약품산업협회(EFPIA) 회원사들이 공동 출자해 만든 것으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세계 최대의 민관협력 파트너십 사례로 꼽힌다. 학계·산업계·환자단체·규제 및 의료기술평가기관 등이 하나로 뭉쳐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이번 코로나19에 대해서도 4500만 유로(한화 약 590억원)를 투자해 치료제·진단제품 등을 개발키로 했다.

또 감염병 억제와 백신 개발을 위한 국제 비영리단체인 전염병예방백신연합(CEPI)은 빌게이츠재단 등 비영리재단 뿐만 아니라 각국 정부의 후원을 받으며 세계 각국에서 4개의 코로나19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대학, 출연연 등을 중심으로 정부가 지원하고, 산업계와 연구기관, 학계가 과제를 수행하는 민관협력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다만, 효과적인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향후 민관 협력 시스템이 더욱 공고히 구축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원희목 회장은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백신과 치료제의 신속한 개발 등 의약주권을 지키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연구개발 역량에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되는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위기 극복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