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대 연구진 공동연구
존 구디너프(2019 노벨화학상) 기술서 진일보
네이처 머티리얼즈게재

위태웅 연구원(左)과 이현욱 교수(右)(UNIST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위태웅 연구원(左)과 이현욱 교수(右)(UNIST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한 번 충전으로 장거리 운행이 가능한 전기차 대용량 배터리에 필수인 ‘양극 소재’가 개발됐다. 이번 연구는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존 구디너프 박사가 1985년 제안한 형태에서 큰 진전이 없이 쓰이던 양극 소재의 개선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현욱 교수팀은 영국 옥스퍼드대 마우로 파스타(Mauro Pasta) 교수팀과 공동으로 ‘고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용 양극 소재(FeF₂ nanorod)’를 합성하고 이 물질의 성능 향상 원리를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해 충전과 방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결과 양극 소재 표면에 생기는 얇은 막이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노트북 등 소형기기에 사용 중인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전기차처럼 많은 양의 전기가 쓰이는 산업 분야까지 확장하기 위해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를 현재보다 더 높여야 한다. 

현재 리튬 이온 배터리에 사용 중인 음극과 양극 소재는 ‘리튬의 삽입(intercalation)과 탈리(deintercalation)’라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어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음극 소재로 ‘실리콘’이나 ‘리튬 금속’ 등을 활발히 연구 중이지만 양극 소재 연구는 많이 부족한 형편이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고 방전한다. 보통 양극은 층층이 쌓인 형태(층상구조)로 만들어 리튬을 저장하도록 설계하는데(존 구디너프의 기술) 이 경우 에너지 용량은 제한된다. 층상구조를 이루는 물질 자체의 부피 때문에 리튬이 들어갈 공간을 늘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리튬을 양극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하면 에너지 용량을 키울 수는 있지만 배터리 수명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리튬과 양극 물질이 결합할 때(방전)보다 분리될 때(충전) 들어가는 에너지가 훨씬 커 충·방전을 반복하면 전극 구조가 불안정해지고 수명도 짧아진다.

공동연구팀은 양극 소재의 제조 공정을 개선해 리튬과 양극 물질이 화학적으로 결합하면서도 충·방전 시 필요한 에너지 차이를 줄인 ‘이플루오르화철(FeF) 나노 막대 양극 소재’를 합성했다. 콜로이드 합성법(colloidal synthesis)을 이용해 20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수준인 단결정(single crystal)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리튬을 더 많이 저장하면서도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이현욱 교수팀은 새로운 양극 소재의 충·방전 과정을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In-situ TEM)’으로 분석해 성능 향상의 비밀을 찾아냈다. 양극 소재의 표면에 철(Fe)과 리튬플로라이드(LiF)로 이뤄진 얇은 이중층이 만들어져 충·방전 동안 양극 소재를 보호해주는 현상을 포착한 것이다.

위태웅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방전 반응 초기에 나노 막대 표면에 형성된 불규칙한 막이 점차 견고한 철/리튬플로라이드(Fe/LiF) 이중층으로 바뀐다”며 “이 층은 충·방전 반응 동안 나노 막대가 가진 불안정한 특성을 보완해준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성능 향상이 어렵다고 알려진 화학결합(conversion) 기반 양극 소재의 작동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연구로 평가된다.

이현욱 교수는 “차세대 고용량 양극 소재는 도전적인 과제라 음극 소재보다 연구가 미흡한 편”이라며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으로 고용량 양극 소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 만큼, 앞으로는 양극 소재에 관한 연구도 늘어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는 학술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즈(Nature Materials)에 2월 24일 자로 공개됐다.

양극소재의 충방전에 따른 구조변화 이미지(UNIST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양극소재의 충방전에 따른 구조변화 이미지(UNIST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kds0327@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