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화력발전소의 모습(출처 flickr)/그린포스트코리아
석탄화력발전소의 모습(출처 flickr)/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국내 건설 중인 신규 석탄화력발전 7기가 가동되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파리기후변화협정(이하 파리협정) 기준의 3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후 분석 전문기관 ‘클라이밋 애널리틱스(Climate Analytics)’는 사단법인 ‘기후솔루션’과 협업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파리협정에 따른 한국의 과학 기반 탈석탄화 경로 연구’ 보고서를 20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석탄발전 규모는 이미 파리협정 탄소 예산의 2.5배 수준이다. 올해 준공되는 고성 하이 발전 1기를 비롯해 2024년까지 7기의 신규 석탄발전소가 가동될 시 석탄발전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파리협정 탄소 예산의 3.17배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 국내 건설 예정인 신규 석탄발전소는 약 7.27GW 규모로 충남 신서천 화력발전소와 경남 고성 하이 1·2호기, 강릉안인 1·2호기, 삼척 포스파워 1·2호기가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노후 석탄 화력 발전 폐쇄 등 현 정부의 탈석탄 정책이 계획대로 시행돼도 석탄발전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파리협정 기준의 2.5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파리협정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국내에서도 2029년까지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전 지구적 온도 상승을 파리협정에 따라 1.5℃로 제한하기 위해선 석탄발전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을 2029년까지 2010년 대비 90% 이상 감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기에 석탄발전을 탄소 배출이 없는 재생에너지로 대체해야 한다고 권고하기도 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가동 중인 발전소를 현재 제안된 수명인 30년보다 더 빨리 폐쇄하거나 사용을 빠르게 줄여야 한다”며 “제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서 밝힌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인 20% 목표는 충분하지 않고 48%까지는 확대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kds0327@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