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생산 조기 재가동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 가속화
국내 대체생산 지원 위해 시설투자 소요자금 신속 지원
중국‧제3국 부품 신속히 통관

정부 부처 관계자들이 7일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경제장관회의에서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에 대한 긴급 지원방안을 합동으로 발표했다.(산업통상자원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정부 부처 관계자들이 7일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경제장관회의에서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에 대한 긴급 지원방안을 합동으로 발표했다.(산업통상자원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중국 소재 자동차 부품기업의 생산이 중단된 가운데 정부가 생산 감축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완성차 및 부품업체에 대한 긴급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신종 코로나 대응 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하고 경제부총리와 산업부, 행안부, 국토부 등이 모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자동차 부품수급 안정화 대책’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정부는 완성차‧부품기업과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생산을 정상화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번 대책은 △중국 현지생산 조기 재가동 △국내 대체생산 지원 △제3국 대체생산 지원을 골자로 한다.

정부는 중국 현지생산 조기 재가동을 위해 중국 정부와의 협의를 가속화 할 방침이다. 주중대사관과 완성차, 코트라 등 모든 채널을 총동원해 중국 지방정부와 협의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주요 지역별 영사관을 통해 협의를 구체화 해 나갈 계획이다.

중국 부품생산 재개 시 부품수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한 물류․통관도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 제한적인 중국 내륙 운송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 공장‧공관‧코트라 간 ‘물류애로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수입 시 24시간 통관을 지원한다. 또한 수입 심사 시 서류제출‧검사선별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부품기업의 국내 대체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공장 신‧증설과 신규 장비 등 시설투자 소요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생산감소 및 매출액 급감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은 경영안정자금을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여기에 중국 부품 대체를 위한 국내 생산 급증으로 52시간 이상 연장근로가 불가피한 경우 특별연장근로를 신속히 인가할 예정이다.

중국 생산부품의 국내 대체생산을 위한 재개발이 필요한 경우 1년 내외의 단기 R&D를 지원하고 생산‧연구인력이 필요한 부품기업에 ‘자동차 퇴직인력 재취업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 고용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부품 개발수요에 따라 연구기관, 지역TP 등의 연구인력도 파견한다.

마지막으로 제3국 대체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베트남‧캄보디아‧필리핀 등 중국 외 제3국 부품공장에서 대체생산된 부품에 대해 신속한 통관을 지원한다.

정부의 이번 대책에 현대자동차도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350여개의 중소 부품 협력업체에 1조원의 자금을 긴급 지원한다. 경영자금으로 3080억원을 무이자로 지원하는 한편, 납품대금 5870억원 및 부품양산 투자비 1050억원을 조기 지급한다.

또한 현대차는 중국 내 협력업체 방역지원, 중국 정부와의 협의 지원 등을 통해 중국 부품업체의 생산 재가동을 지원하고 국내 부품공급이 중단된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 중국 부품업체에 대해 작업장 소독, 열화상 카메라 설치, 체온기 및 세정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와이어링 하니스 중국 부품업체의 공장 재가동을 위해 정부와 중국 지방정부 간 협의에도 적극 지원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이날 대책 발표를 통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국민들의 걱정과 우려가 큰 비상상황에서 산업․경제 분야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대책을 통해 단기적으로 자동차 부품수급의 불확실성을 조기 해소하고 자동차 생산을 정상화 해 나갈 것”이라며 “만일의 사태 장기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철저히 대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산업부는 13개 지자체, 23개 전문 지원기관(연구원, TP 등)과 함께 현장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이번 대책의 현장 집행상황을 점검하고 자동차 업계의 현장 애로사항도 지속적으로 대응한다.

kds0327@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