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인 분석을 위해 정밀조사를 진행 중이다.(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인 분석을 위해 정밀조사를 진행 중이다.(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지난해 말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시설에서 발생한 방사성 물질 방출 사고는 ‘인재’라는 중간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설 운영자의 운영 미숙으로 오염수가 시설 외부로 넘쳐흐른 것으로 드러났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31일 제114회 회의에서 지난 21일부터 진행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물질 방출 사건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원안위 사무처는 21일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저준위 액체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인 ‘자연증발시설’에서 방사성물질이 방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사건 보고를 받았다. 세슘137과 세슘134, 코발트60 등 인공방사성 핵종이 연구원 내 자연증발 시설 주변 우수관으로 방출됐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사건조사팀을 파견해 조사를 벌여왔다. 

그 결과 원안위는 이번 사고는 연구원 내 자연증발시설에서 발생했다고 결론 내렸다. 우수관 내 토양 시료 분석에서 핵분열성 핵종인 세슘137, 세슘134, 코발트60이 검출된 것은 핵연료를 다루는 시설에서 유래되었음을 의미하는데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시설과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 등에서는 방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원안위는 이번 사건의 원인으로시설 운영자의 ‘운영 미숙’을 꼽았다. 시설운영자가 필터 교체 후 밸브 상태를 점검하지 않은 채 시설을 가동, 오염수가 바닥으로 넘쳐 시설 외부로 방출됐다는 것이다. 시설운영자는 1명이고 교대 근무조는 없었다. 1991~2017년까지 근무했던 시설 운영자는 퇴직했고 2017~2018년에는 경력직원이, 지난해부터는 신규 직원(경력 1년)이 일하고 있다.

또 이번 조사과정에서 자연증발시설의 필터를 교체할 때마다 오염수가 약 50리터씩 유출된다는 문제도 확인했다. 지난 30년간 2년 주기로 13회에 걸쳐 필터를 교체했다고 가정할 경우 총 650리터 정도의 오염수가 배출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연구원 외부를 흐르는 덕진천과 관평천, 갑천 등에서 채취한 토양과 하천수 시료의 경우 평상시 방사능 농도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안위는 자연증발시설 운영과정에서 외부 환경으로 배출되어서는 안 되는 인공방사성핵종이 방출되는 등 안전조치가 미흡했음을 확인함에 따라 동 시설에 대한 사용정지 명령을 내리고 조사를 계속할 계획이다.

원안위 측은 “자연증발시설 등으로부터 방출된 방사성물질이 외부 환경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토양을 제염하고 밀봉토록 조치해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kds032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