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물자원관, ‘한국의 태형동물(순구목)’ 도감 발간
준전문가도 동정 가능토록 상세한 형태 정보·사진 등 담아

 
고요이끼벌레아목 떡갈이끼벌레.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고요이끼벌레아목 떡갈이끼벌레.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우석대 생명과학과 소속 서지은 교수팀과 함께 한반도에 서식하는 태형동물 중 순구목 130종 정보가 담긴 ‘한국의 태형동물(순구목)’ 도감을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태형동물은 이끼벌레라고도 하며 1㎜ 안팎 작은 크기로 촉수를 이용해 바위, 조개껍질 등 다양한 곳에 붙어서 무리를 지어 산다. 일부 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바다에 살며 전 세계적으로 1만 종, 우리나라에는 210종이 보고돼 있다.

이 중 나후강에 속하는 순구목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태형동물 중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된 분류군으로 대부분 바다에 서식하며 개충(군체를 구성하는 개체)이 연쇄적으로 추가 딸개충(부모개충에서 발아해 새롭게 형성된 개충)을 형성해 석회성 골격을 가진 군체를 형성한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이번 도감은 과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 종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거친 76종과 ‘미개척 무척추동물 조사·발굴 연구’ 사업에서 발굴된 54종을 종합해 총 46과 85속 130종을 수록했다.

새롭게 추가된 ‘백령짧은자루조두체이끼벌레’ 등 신종 20종과 ‘해시계벽난로이끼벌레’ 등 미기록종 34종은 2016년 10월부터 2018년 5월까지 분류학계 저명한 국제학술지 ‘주택사(Zootaxa)’와 국립생물자원관 학술지 ‘저널 오브 스피시즈 리서치(Journal of Species Research)’ 5편에 게재해 학술적 검증을 이미 완료했다.

유낭아목 큰입이끼벌레.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유낭아목 큰입이끼벌레.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주요 내용으로는 태형동물 형태와 국내 분포, 생태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담았고, 특히 생태 사진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을 수록해 실제 관련 연구자들 동정(야생생물에 대해 분류학상 위치나 명칭을 바르게 확인하는 작업)에 참고토록 했다.
   
그동안 태형동물 형태가 산호, 히드라, 해조류를 닮아 동정이 어려웠으나 이번 도감에는 동정이 가능한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어 생물다양성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태형동물은 바닥에 고착해 군체가 성장함으로써 산호류 등처럼 서식지를 점유하는 대표적인 분류군으로 서식지 훼손과 회복, 종다양성 연구에 중요한 분류군이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도감 발간으로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태형동물 연구가 한층 쉬워졌다”며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조사와 평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태형동물 도감은 이달 말부터 국내외 주요 도서관, 연구기관, 관계 행정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PDF 형태로 국립생물자원관 홈페이지에 31일 공개된다.

‘한국의 태형동물(순구목)’ 도감 표지.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의 태형동물(순구목)’ 도감 표지.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