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10일 열린 제 113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참석해 위원들과 안건에 대해 논의 하고 있다.(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10일 열린 제 113회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참석해 위원들과 안건에 대해 논의 하고 있다.(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경북 경주시 월성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맥스터)이 추가로 건설돼 원전 운영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가 맥스터 7기 추가 건설을 결정한 데 따른 것으로 보관 포화 시점은 당분간 미뤄질 전망이다.

원안위는 10일 서울 종로구에서 113회 회의를 열고 월성 원전 맥스터 추가 건설 여부를 논의해 7기 증설을 의결했다. 표결은 출석위원의 3분의 2 이상이 동의하면 가능한데 8명의 위원 중 절반 이상인 6명이 찬성해 이날 맥스터 추가 건설이 확정됐다.

맥스터란 중수형 원전에서 배출되는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는 구조물이다. 2단계 맥스터는 7기의 구조물로 구성되며 1기당 사용후핵연료 2만4000천 다발이 저장 가능하다. 7기가 증설되면 총 16만8000천 다발의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2016년 맥스터 증설 신청을 내고 총 14기를 구축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경제성 때문에 우선 7기만 건설, 2010년부터 이용해왔다. 그 결과 지난해 9월 기준 저장률이 포화상태에 다 달았고 이에 원전업계는 내년 11월 월성 맥스터가 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원안위는 지난해 11월 맥스터 증설을 위한 회의를 열었지만 안정성과 관련된 자료 미비를 이유로 한 차례 안건을 보류했다. 이후 지난해 12월 회의를 한 차례 건너뛴 뒤 이날 재상정돼 추가 건설을 의결했다. 특히 원안위원 8명 중 6명의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된 이번 의결에는 위원 중 일부가 지난해 12월 현장 답사를 다녀온 게 결정적이었다는 업계의 설명도 있다.

원전업계는 이번 원안위의 결정을 크게 반기고 있다. 월성 원전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캐니스터 300기·맥스터 7기)의 용량은 총 33만 다발, 지난해 9월 기준 31만8480 다발이 이미 채워져 포화율이 96.5%에 달했기 때문이다. 저장시설이 없으면 핵폐기물을 보관할 수 없어 원전 발전이 불가능한 만큼 월성 2~4호기의 가동이 멈추는 건 시간문제였다. 여기에 맥스터 건설에 최소 18개월 이상 소요돼 원전 가동이 중단될 것을 막기 위해 올해 상반기 중 착공해야 하는 상황이다. 원전업계는 월성 1호기가 영구 정지된 만큼 전력 수급을 위해 2~4호기 가동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그동안 강조해왔다.

원안위 측은 “원자력안전법령에 따르면 운영변경허가는 24개월 이내에 처리하도록 하고 신청서류 보완, 수정 기간 등은 제외하도록 한 규정을 적용하면 현재까지 이 건의 처리에는 약 18개월이 소요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탈핵시민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사용후핵연료와 관련한 저장 문제 등이 공론화 중인만큼 원안위가 성급하게 증설을 결정한 것은 문제라고 꼬집었다. 정부의 탈핵 정책과 시민단체들이 이번 결정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있는 만큼 향후 맥스터 건설에 대한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kds0327@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