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 이후 국민 불안감을 해소
4대 분야 12개 중점과제로 구성

산업통상자원부 청사(그린포스트코리아DB)/그린포스트코리아
산업통상자원부 청사(그린포스트코리아DB)/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동수 기자]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지난 5월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가 발생한 이후 수소 설비에 대한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방안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안전시스템을 구축하고 3대 핵심시설을 중점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지속 가능한 안전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관련 안전인력도 지속해서 양성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26일 대전광역시 학하 수소충전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모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전문가 및 관계부처, 수소업계, 현장에서 제기되는 안전관리상의 문제점 등을 토대로 수소 생산, 운송‧저장 활용 전주기에 걸쳐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생태계 전반에 걸쳐 촘촘하게 점검해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은 수소 안전과 산업이 균형 발전하는 수소 강국 실현을 위해 마련됐다는 게 산자부의 설명이다.

산자부가 제시한 방안은 △글로벌 수준의 안전시스템 구축 △3대 핵심시설 중점관리 △지속 가능한 안전생태계 조성 △소통‧협력을 통한 안전문화 확산 등 4대 분야 12개 중점과제로 구성됐다.

우선 산업부는 저압수소 관리를 위해 ‘수소법(국회 본회의 계류 중)’을 제정, 수소생산과 운송, 저장, 활용 등 전반에 대해 글로벌 수준의 안전 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가스안전공사 내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구를 설치해 수소제품과 수소 설비에 대한 통합적 안전관리, 안전 실증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하고 지난 5월 발생한 강릉 과학단지 사고와 관련해 향후 R&D 기획 단계부터 안전책임자 지정‧안전비용 등 안전계획을 수립도록 한다. 연구 과정에서 안전전문기관의 이행점검을 통해 부적합 과제는 중단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연구과제 종료 후 5년 간 사후관리를 시행할 예정이다.

3대 핵심시설 중 하나인 수소충전소는 안정성 평가, 관리체계 고도화, 안전관리 역량 강화, 부품 및 설비관리 등 현행 제도 보다 촘촘한 시스템이 구축된다.

수소생산기지와 연료전지 시설의 안전관리도 대폭 강화될 예정인데 수소를 생산하는 수소 추출기와 수전해 설비는 생산 제품마다 전수검사를 시행하고 수소충전소 수준의 안전성 평가 등의 이중모니터링 체계도 도입된다. 가정·건물·발전용으로 활용되는 연료전지 시설에서도 배기가스(CO) 농도와 수소품질, 누수 등에 대한 안전기준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설비 전 구간에서 CO 측정과 수소 중 산소 혼입 시 설비 자동정지, 누수 방지 구조 설계방법 등도 도입될 예정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안전생태계 조성을 위해 ‘수소안전 전문인력 양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수소 설비 시공, 유지관리 등에 필요한 현장인력을 전문교육과정을 신설해 양성한다. 

국민에 대한 홍보도 시행할 방침이다. 수소경제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홍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주민설명회나 체험행사, 이동식 체험관 운영 등 수소경제에 대한 이해와 수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수소업체가 자발적으로 제품 및 시설에 대한 안전 수준을 높여갈 수 있도록 ‘수소안전 우수업체’ 지정제도도 신설‧추진한다.

성윤모 장관은 "이번 대책이 수소경제 활성화를 안전하게 뒷받침해 수소산업 일자리를 창출하고, 안전문화를 확산하고 사고예방 능력을 높여 안정적인 사업 환경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소 Value chain별 全주기 제도개선 내용(산업통상자원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수소 Value chain별 全주기 제도개선 내용(산업통상자원부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kds0327@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