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친환경산업 필수소재 탄소섬유 국산화에 사활
효성, 2028년까지 1조원 투입해 탄소섬유 생산 공장 증설

전라북도 도청 전경(사진 전라북도 제공)
전라북도 도청 전경(사진 전라북도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이재형 기자] 인간은 고도로 발전된 산업화로 역사상 유래없는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산업화 과정에서 비롯된 환경파괴를 피할 수 없었다.

인간과 환경은 떼려야 뗄 수 없이 서로 연결돼 있다. 노후 차량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연과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시커먼 연기, 이는 대기를 오염시키고 오염된 대기환경에서 내리는 산성비는 토질을 오염시킨다. 오염된 토양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먹고 오염된 공기를 마시며 산성비를 맞으면서 인간은 병들어 간다.

이에 환경친화적인 산업 즉, '친환경산업'이 눈길을 끈다. 산업을 일으키고 경기를 부양하는 동시에 환경도 보호할 수 있어 산업 전 분야에서 이를 주시하고 있다. '환경도 살리고 돈도 번다'는게 이 산업의 목적이다. 

이런 가운데 각 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의 친환경사업 유치 노력도 주목할만 하다. 환경을 보존하고 지역 경제도 살리기 위해 친환경 산업과 기업을 유치하려 노력하는 지방자치단체, 전라북도를 소개한다.

◇ 전라북도, 탄소섬유 산업에 사활

전라북도(전북도)는 '저탄소 녹색성장'이 국내 산업의 화두로 떠오르던 시기인 지난 2006년부터 탄소 산업을 도의 전략 사업으로 정하고 지금껏 달려왔다.

당시 중앙정부도 '녹색성장 국가전략 5개년 계획'을 발표해 저탄소 녹색성장과 지식·혁신주도형 산업발전의 필수요소로 국가 역량을 집중, 소재강국 실현을 위해 탄소 소재 산업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고 봤다.

전북도는 다양한 탄소 소재부터 탄소 제품까지 원스톱으로 생산할 수 있는 '탄소밸리'를 구축, 전북도가 탄소 산업을 선도하는 것을 구상하며 이 산업을 시작했다.

전북도에 따르면 당시 도가 산업을 시작하던 때, 한국은 탄소섬유 사용량에서 세계 6위였지만 선진국들 중 탄소 소재 생산기반이 없는 유일한 국가였다. 전량을 수입에 의존했다는 뜻이다. 

탄소 소재에 대한 수입 의존도는 높지만 생산 기반이 없다는 점에서 해외의 소재 생산 기술 보유국이 이를 전략 물자화 해 가격을 조정하는 등 한국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또한 이 탄소소재는 향후 한국 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첨단소재라는 점에서 반드시 역량을 확보해야 할 분야였다.

동시에 탄소소재가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 제품에 들어가는 필수소재인 만큼 지난 1993년 파리기후변화협약에 가입한 한국은 이를 국가 산업화해야 할 충분한 유인이 있었다.

◇ 탄소섬유는 무엇?, 시장성은?

탄소섬유는 친환경차인 수소·전기차의 필수 소재다. 수소·전기차용 연료탱크는 강철보다도 강도가 10배 강하고, 고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 진다. 

탄소섬유는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에 비해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다. 또 실(絲)안에 탄소가 92% 이상 함유된 탄소섬유는 전도성이 좋고, 부식과 열에 견디는 능력이 탁월하다. 

이에 수소·전기차뿐만 아니라 전 산업에서 철을 대체할 수 있는 '미래 산업의 쌀'로 평가받고 있다. 

전북도 혁신성장산업국 탄소융복합과에 의하면 탄소섬유는 수소·전기차뿐만 아니라 풍력·태양광 등 신에너지와 수질·대기오염 방지장치 등 친환경과 관련한 전 산업과 융·복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탄소소재 시장규모는 2020년 3조7250억원에 달하며 탄소섬유의 경우 연평균 19.12%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 오는 2025년 시장규모가 무려 11조83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북도는 내다보고 있다.

탄소섬유 소재 사진(효성 제공)
탄소섬유 소재 사진(효성 제공)

◇ 전북도의 탄소소재 산업ⵈ어디까지 왔나?

전북도는 이 사업을 하기 위해 당초 총 3500억원(국비 2150억원, 지방비 150억원, 민간자본 1200억원)의 예산을 세웠다. 그러면서 탄소소재 국산화를 통해 5500억원 규모의 수입 대체 효과가 있을 것을 기대했다.

전북도는 탄소소재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구상을 마련한 이후인 지난 2008년 탄소섬유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고기능·고성능 복합섬유 개발에 착수했다. 

이후 전북도의 탄소소재 산업은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전북도 전주시는 지난 2010년 탄소산업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한국탄소융합기술원 국제탄소연구소를 열었다.  

생산 공정을 돌린지 3년만인 지난 2011년에는 세계 세 번째로 범용성이 큰 T-700급 탄소섬유(탄섬·TANSOME)를 개발했다. 순수 국내 기술력만으로 이뤄낸 성과였다.

또 지난 2013년 전북도는 전주시 팔복동 소재 친환경 첨단복합산업단지에 연간 2000톤 규모의 탄소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세울 목표로 소재 산업을 영위하는 국내 기업 효성과 업무협약도 맺었다. 전주시 팔복동 일대 65만6천㎡ 규모다.

더불어 지난 9월에는 국토부가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를 지정·승인했다. 전북도는 한국탄소융합기술원(전주), KIST 전북분원(완주) 등 연구기관과 이미 가동중인 전주 친환경첨단복합단지, 그리고 완주테크노밸리산단을 중심으로 탄소소재산업 특화클러스터 구축할 방침이다.

이번에 수립된 산업단지는 도로율 18%(기준 8%이상), 공원·녹지율 12%(기준 5% ~7.5%), 주차장 6460㎡의 규모다. 도는 주변에 기반시설을 충분히 확보 산업단지 주변를 도시숲 등으로 조성해 쾌적하고 편리한 친환경 산업단지로 꾸밀 예정이다.

전북도는 이 탄소산업 집적화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2024년까지 2365억원(국비 444억원, 지방비 151억원, LH공사 1770억원)을 투입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용지보상, 문화재 시발굴을 시작해 공사를 추진한다.

또 전북도와 전주시는 탄소산업 종합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을 설립, 오는 2028년까지 국내 탄소섬유 수요를 600%로 확대하고 공급시장 점유율을 80%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전라북도 탄소 소재 국가산업단지 지정·승인 위치도(전라북도 제공)
전라북도 탄소 소재 국가산업단지 지정·승인 위치도(전라북도 제공)

◇ 탄소섬유, 생산 과정은 과연 친환경적일까?

다만, 탄소섬유 생산과정에서 환경에 유해 영향을 미치지 않을지, 우려나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탄소섬유는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 산업의 필수소재이지만, 이 소재가 생산되는 과정에서 환경 오염 요소가 있다면 이는 친환경이라 말할 수 없다.

전북도 관계자에 따르면 탄소섬유를 생산하는 과정은 원재료의 탄소 순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관계자는 "생산 과정에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면서 "생산 공정은 탄소섬유의 원재료인 아크릴로리트릴을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열을 가해 탄소 성분을 강화하는, 원재료의 특성을 변형하는 과정으로 부산물 등이 발생하지 않아 2차 오염의 우려가 없다"고 설명했다.

◇ 전북도, 탄소섬유 사업 위해 효성과 맞손

최근 전라북도와 전주시는 효성과 탄소섬유 신규 투자 협약을 맺었다. 효성은 2028년까지 이 사업에 총 1조원을 투자해 현재 1개 생산라인 연산 2000톤 규모에서 연간 2만4000톤(10개라인)까지 생산량을 확대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앞서 전북도는 지난 2011년 이미 효성과 탄소소재 산업을 함께 하기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최근 협약은 탄소소재 생산량을 크게 늘리기 위해 공장을 증설하는데 드는 재원을 효성 측이 추가 투자하겠다는 협약이다. 

효성 관계자는 관련해 "내년 2월을 단기적인 목표시점으로 삼아 2000톤 증설을 완료할 계획"이라면서 "그 시점에서 총 4000톤 물량 규모를 생산할 공장이 증설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탄소섬유는 기술집약적 첨단소재로 철을 대체할 수 있어 항공기, 자동차, 전설, 건축자재 등의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면서 "현재 탄소섬유는 비교적 높은 가격이 형성돼 있지만 기술을 개발해 원가절감과 대량생산을 통해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면서 "회사가 사업을 열심히 해서 탄소섬유 사업이 전라북도 지역의 간판사업으로 자리매김하게 되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소재 효성 탄소섬유 양산 공장 전경(사진 효성 제공)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소재 효성 탄소섬유 양산 공장 전경(사진 효성 제공)

 

 
 

jhl@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