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4일간 일본 기타큐슈서 ‘제21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개최
지난 1년간 3국 협력성과·향후 5년간 우선협력분야 담긴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은 동북아 지역 해결과제인 대기질 개선과 국제사회 공조가 필수인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 협력분야로 제안했다. (사진 환경부 제공)
한국은 동북아 지역 해결과제인 대기질 개선과 국제사회 공조가 필수인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 협력분야로 제안했다. (사진 환경부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환경부는 23~24일 일본 기타큐슈(Kitakyushu)에서 열린 ‘제21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21)’에서 일본, 중국 환경장관들과 동북아 지역 환경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공동합의문(Joint Communique)’을 채택했다고 25일 밝혔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본회의에 앞서 고이즈미 신지로(KOIZUMI Shinjiro) 일본 환경성 장관, 리간지에(LI Ganjie)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과 각각 양자회담을 가졌다.

일본과의 양자회담에서는 먼저 다음 달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제2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온실가스 국외감축 근거가 되는 파리협정 제6조 국제탄소시장 지침 채택과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 실현을 위해 적극 협력키로 했다.

특히 해양쓰레기 국가간 이동 문제에 대해 공동 대응하고 해양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정책개발에 협력키로 했고 비닐봉투 등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양국 정책경험을 공유키로 했다. 또한 붉은 불개미 등 침입외래생물로 인한 생태계 교란, 경제적 손실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침입외래생물 종 정보, 퇴치 경험, 관련 정책 등을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협력키로 했다.

이밖에 일본과의 양자회담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방안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우려를 전달하고 원전 오염수 관리 안전성에 대해 주변국이 신뢰할 수 있도록 처리현황 등의 정보를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일본 환경성 장관은 과학적 근거에 입각해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국제사회에 지속적으로 공개할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중국과의 양자회담에서는 먼저 지난 4일 서명한 ‘청천(晴天, 맑은 하늘)계획’ 이행 책임자로 양국 국제협력 담당 국장을 지정하고 세부 추진계획 수립과 이행관리를 담당키로 했다.

특히 올해부터 중국은 징진지(베이징·텐진·허베이) 및 주변지역 추·동절기 대기오염 종합관리 기간 대기질 예·경보 상황, 미세먼지 저감조치 등의 정보를 한중환경협력센터에 제공키로 하고 한국 정부는 이를 다음 달부터 도입하는 계절관리제 기간에 집중적으로 활용키로 했다.

내년 2월 중국 하이난에서 개최 예정인 제7차 한·중·일 대기오염 정책대화에서는 ‘한·중·일 대기분야 협력 5개년(2020~2024) 계획’을 내실 있게 수립키로 합의했다. 또한 양국은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갖는 온실가스 줄이기를 적극 추진키로 하고 한국이 2015년부터 시행 중인 배출권거래제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배출권거래제 정책협의체’를 구성키로 했다.

참고로 중국 리간지에 장관은 중국도 내년 말까지 배출권거래제 전국 시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마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이밖에 ‘한·중 환경협력 양해각서(2003년 제정, 2014년 개정)’에 한중환경협력센터 설치, 환경장관 연례회의 등 그간 양국 환경협력 성과와 기후변화 등 신규 협력분야를 발굴해 반영키로 했고 개정안 마련을 위한 실무급 협의를 조속히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 ‘우선협력분야 선정’...공동합의문 주요 내용은?

본회의에서 3국 장관은 동북아 및 전지구적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차기 ‘3국 공동행동계획(2020~2024)’ 우선협력분야를 선정해 공동합의문에 담아 서명했다.

우선협력분야로는 △대기질 개선 △순환경제 △해양·물 환경 관리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화학물질 관리와 환경재난 대응 △녹색경제로의 전환 △환경교육, 대중 인식과 참여 등 총 8가지다.

3국 장관은 8대 분야별로 오늘 양자회담과 본회의에서 논의한 결과를 토대로 협력사업을 발굴해 내년 한국에서 개최하는 ‘제22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3국 공동행동계획(2020~2024)’을 채택키로 했다.

한국은 동북아 지역 해결과제인 대기질 개선과 국제사회 공조가 필수인 기후변화 대응을 최우선 협력분야로 제안하고 공동 행동계획 수립 전이라도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LTP) 요약보고서’ 후속 공동연구, 기후변화 적응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교류·공동연구 등을 추진하는 3국 협력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이밖에 내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2차 ‘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4G)’ 정상회의에 중국과 일본의 관심과 협조를 요청했다.

조 장관은 “한·중·일 3국은 같은 하늘과 바다를 공유하는 환경공동체로 맑은 하늘과 푸른 바다를 지키기 위해서는 협력과 공조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회의에서 3국 장관은 이런 엄연한 현실에 공감했고 미세먼지, 해양쓰레기, 기후변화 등 다양한 환경현안에 대해 앞으로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환경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