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업 체질 개선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 발표

(CI 해양수산부) 2019.11.12/그린포스트코리아
(CI 해양수산부) 2019.11.12/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주선 기자] 해양수산부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해 해양수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을 11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해 해양수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이번 전략은 ‘스마트 해양수산 선도국가 도약’이라는 비전으로 △2030년까지 자율운항선박 세계시장 50% 점유 △스마트양식 50% 보급 △사물인터넷 기반 항만 대기 질 측정망 1000개소 구축 △해양재해 예측 소요시간 12시간→4시간으로 단축 △해양수산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스마트 해양수산 2030 미래상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물류서비스' 분야 (자료 해양수산부) 2019.11.12/그린포스트코리아

◇ 해운·항만 분야 :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해상 물류서비스 혁신

해운·항만 분야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개발과 함께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에 맞추어 스마트항만, 초연결 해상통신, 고정밀 위치정보 등의 스마트 해상물류 인프라와 서비스를 구축한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을 산업부와 함께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까지 국제해사기구(IMO) Level 3(미 승선·최소인원 승선)수준의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하고, 후속 연구개발을 통해 2030년까지 Level 4 수준의 완전 무인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동시에 자율운항선박 운항에 필요한 입·출항 관리, 운항지원센터, 최적 하역, 연료 충전 등을 지원하는 차세대 항만운영 체계도 구축한다. 

또 초대형·자율운항선박에 적합하고 안정적인 초고속·대용량 하역을 위한 항만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구축함과 동시에, 사물인터넷·인공지능 기술로 항만 내 모든 작업과 물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 최적의 물류 프로세스와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현하는 지능형 항만을 개발한다.

아울러, 자율운항선박과 스마트항만 간 정보 교환 등 해상에서의 초고속 통신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LTE-M 등의 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내년부터 e-내비게이션(e-Navigation) 서비스(최적 안전항로 지원 등)를 개시한다. 자율운항선박의 이·접안과 항만 자동하역 등을 지원하기 위해 오차범위 10cm 이하의 고정밀 위치정보서비스(PNT)도 2025년부터 제공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컨테이너, 섀시, 터미널 등 물류 장비·시설에 공유경제를 도입해 물류 프로세스와 비용을 효율화하고, 화물운송과정의 추적성과 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사물인터넷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컨테이너의 개발과 보급도 추진한다.

()
스마트 해양수산 2030 미래상 '수산업 전 과정에서 스마트 밸류체인' 분야 (자료 해양수산부) 2019.11.12/그린포스트코리아

◇ 수산 분야 : 수산업 전 과정에서 스마트 가치사슬(Value chain) 구축

수산 분야에서는 수산물의 생산·가공·유통 등 전 과정에 스마트 기술을 도입해 국민이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수산물을 공급하고, 수산업 종사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디지털 기반의 신산업 구현을 추진한다.

지속 가능한 어업 실현을 위해 총허용어획량(TAC) 기반 어업규제완화 시범사업과 연계해 스마트 어업관리 모델을 도입하고, 어업인들이 어종·어획량 등의 정보를 해상에서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전자어획 보고시스템, 어선의 어획량과 어종별 크기 · 무게 등을 양륙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확인하는 TAC 감시 시스템 등을 개발·적용한다.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CCTV 기반의 인공지능 옵서버(Observer) 개발을 통해 어선에 탑재해, 조업현장의 어획량, 어종, 불법조업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인공지능 옵서버는 2025년까지 모든 근해어선(2700여 척)에 탑재하고 이후 연안 어선 등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그동안 육안 관측과 경험에 의존해 온 양식업은 데이터에 기반을 둔 자동화·지능화하는 스마트양식도 개발한다. 사물인터넷 센서 등으로 수질·사료·질병 관리 등 양식 전 과정을 데이터화하고, 스마트양식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실증 데이터 축적, 민간 양식장 기술 공유, 우수 데이터 거래·유통 등을 지원한다.

()
스마트 해양수산 2030 미래상 '해양환경재해안전 스마트 관리대응' 분야 (자료 해양수산부) 2019.11.12/그린포스트코리아

◇ 해양환경·재해·안전 분야 : 정확한 예측과 신속한 대응능력을 강화

해양환경·재해·안전 분야에서는 방대한 정보 분석을 토대로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 정확하게 예측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능력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해양 쓰레기의 실시간 관측정보를 기초로 발생원과 발생량을 추정하고 이동 경로와 분포까지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해 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며, 수거·처리단계까지 최적화하는 통합관리 플랫폼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해수부는 전했다.

항만 지역 미세먼지 저감의 노력도 기울인다. 주요 항만과 연안 선박에 사물인터넷 기반 대기오염 측정망을 구축·관측하고, 디지털 트윈기술(항만 시설·장비 등 대기오염원 관련 모든 사물을 가상세계에 쌍둥이로 구현하는 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으로 오염의 농도·분포· 영향 등을 분석· 예측하는 통합 플랫폼을 개발한다.

더불어 사물인터넷 기반 무인 자율관측시스템을 개발해 기존 선박과 관측장비가 접근할 수 없는 해역까지 관측망을 확대함과 동시에, 담당 해역의 해양현상에 대한 고해상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신속한 분석을 위한 해양전용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10대 해양재난‧재해 상황에서 분석·예측에 걸리는 시간을 12시간→4시간으로 크게 단축함으로써 체계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확보될 것으로 해수부는 기대하고 있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해양수산 분야의 스마트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저변이 확대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과감히 도전하고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사업모델과 성공사례를 꾸준히 발굴하겠다”면서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발전함에 따라 계속해서 전략을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eesun@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