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분화능줄기세포' 활용해 신약 개발
셀 리포트지에 신약후보물질 '10-DEBC' 게재

(사진 질병관리본부 제공) 2019.11.1/그린포스트코리아
김정현 보건연구관 연구팀이 항결핵 신약후보물질 '10-DEBC'을 개발하기까지 과정.(사진 질병관리본부 제공) 2019.11.1/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재형 기자]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이 결핵에 효과적인 약물을 선별하는 새로운 기법과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김정현 보건연구관 연구팀은 체내 모든 세포로 분화하는 ‘전분화능줄기세포’를 이용해 아메바성 세포인 '마크로파지'를 양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어떤 약물이 결핵균에 효과가 있는지 구별하는 ‘스크리닝 플랫폼’도 마련했다.

또 이 같은 기법을 이용해 기존 약물에 내성을 가졌던 결핵균에 효과가 있는 신약후보물질(10-DEBC)까지 발굴하고 학계에 알렸다.

결핵은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고 치료제에 내성을 갖는 변종 균이 계속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의료계에서는 변종 균에 대응하는 새로운 치료제를 모색해왔으나 지난 50년 간 개발된 신약은 3개 종에 그쳤다. 이처럼 신약 개발이 지체된 것은 그간 약물 개발 때 ‘생쥐의 암세포’나 급성 백혈병환자에서 유래한 ‘단핵세포’를 이용했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팀은 암세포나 단핵세포가 아닌 ‘전분화능줄기세포’를 이용해 신체에서 직접 채취한 것과 유사한 ‘인간 마크로파지 세포’를 대량 생산했다. 

(사진 질병관리본부 제공) 2019.11.1/그린포스트코리아
마크로파지 제작에 활용된 전분화능 줄기세포.(사진 질병관리본부 제공) 2019.11.1/그린포스트코리아

또 결핵균이 인간 마크로파지에 잠복하는 성질을 이용, 마크로파지에 결핵균을 감염시키고, 활성 화합물과 기존약물로 3716개를 적용해 이중 효과가 있는 항결핵 신약후보물질 6건을 발굴했다. 이중 한국 파스퇴르 연구소와 협력해 발견한 것이 신약후보물질(10-DEBC)이다.

김성곤 국립보건연구원 생명의과학센터장은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새로운 결핵 약물 스크리닝 기술을 제시한 것”이라며 “실제로 인체유래 세포에 효능이 있는 항결핵 물질을 발굴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저명 저널인 셀(Cell) 자매지 스템 셀 리포트(Stem Cell Report)에 게재됐다.
   

silentrock91@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