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례 단기개방 실험...바닷물 유입·유출 수치모형 검증
수질·지하수 등 영향 조사...하굿둑 개방수준별 영향검토·대책 논의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 실증실험 모습. (사진 환경부 제공)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 실증실험 모습. (사진 환경부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환경부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낙동강 하구의 기수(바닷물과 민물이 섞임) 생태계 복원방안 마련을 위해 올해 2차례 실시한 ‘낙동강 하굿둑 단기개방 실증실험’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환경부 등 5개 기관(이하 5개 기관)은 지난 6월 6일과 9월 17일에 1차와 2차 실험으로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단시간 개방해 바닷물 유입시 소금성분(염분) 침투양상(이동거리, 농도변화), 수질, 지하수 등의 영향을 살펴봤다.

1차 실험에서는 하굿둑 수문 1기를 38분간 부분 개방해 64만톤의 바닷물을 유입시켰다. 유입된 염분은 밀도 차이에 의해 하천 최저층으로 가라앉아 상류로 침투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하천 표층과 중층은 큰 염분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고 최저층은 고염분(5psu 내외)이 얇은 층(0.5∼1m)을 이뤄 하굿둑 상류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2차 실험에서는 1차 실험결과를 토대로 염분침투 수치모형을 개선하고 1차보다 증가한 101만톤의 바닷물을 51분간 유입시켜 염분의 침투양상을 검증했다. 수치모형은 염분의 수직 혼합·확산계수를 조정(감소)하고 격자를 세분화해 하천 최저층에 얇은 층을 이루고 있는 고염분에 대한 예측을 정교화했다.

실험 결과 염분은 수치모형에서 예측한 하굿둑 상류 8∼9㎞(배경농도 대비 1psu 증가)와 유사하게 상류 8.8㎞(배경농도 대비 2psu 증가)까지 침투한 것으로 나타나 정확도가 대폭 개선됐다.

또한 바닷물 유입에 따른 하굿둑 주변 지역 지하수 염분 변화를 관측한 결과 2차 실험에서도 1차와 마찬가지로 주변 지하수 관정에서 유의미한 염분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1·2차 실험이 단기간 개방 실험이었던 만큼 수온, 용존산소량, 산성도, 퇴적물 구성 등에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하굿둑 상류 500m, 1㎞, 2㎞, 3㎞ 등 4개 지점 최저층에서 관측한 탁도 수치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5개 기관은 낙동강 하굿둑 기수생태계 조성방안 마련을 위해 이번 실증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8월 구성된 민관협의체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또한 5개 기관은 2차례에 걸친 이번 낙동강 하굿둑 단기개방 실증실험이 다양한 실측자료를 확보하고 바닷물 유입 및 유출 수치모형을 정교화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