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발표한 '미래자동차 국가비전'은 2030년까지 미래차 부문의 세계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웅대한 포부를 담고 있다. 앞으로 11년 안에 친환경차 판매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의 3분의1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경부고속도로에 자율주행차가 씽씽 달리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제도와 인프라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한편 기업들의 투자도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이미 41조원의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그러나 정부의 이런 장밋빛 청사진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시장의 시각은 그야말로 '기대반 우려반'이다. 미래차 1위 국가로 가겠다는 정부의 계획을 집중분석한다. [편집자주]

한국은 2030년까지 미래차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겠다고 15일 밝혔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019.10.21/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은 2030년까지 미래차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겠다고 15일 밝혔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019.10.21/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주선 기자] 우리나라 뿐 아니라 자동차 산업을 선도하는 다른 나라들도 수소차(FCEV) 연구·개발에 한창이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후발주자로 알려진 중국과, 넥쏘(NEXO)의 대항마 미라이(未来)를 보유하고 있는 일본 등은 수소 경제 실현을 위해 정부 주도의 수소 인프라 확충 사업과 관련법 개정 등을 마련, 정상을 향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일본은 이미 ‘수소 사회’ 선언, 중국은 '수소차 굴기', 미국은 FCEV 보급 급물살

한국은 2018년 기준 1900여 대의 수소차가 등록돼 있지만, 충전소는 35개소에 불과하다. 2017년 10월 기준 일본에서 등록된 수소차는 2000여 대와 충전소는 92개소,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수소차 2400여 대와 충전소 35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일본은 2014년 수소 사회를 국가 비전으로 선언, 도쿄올림픽이 열리는 2020년까지 수소 사회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차는 2020년까지 약 4만 대, 2025년 약 20만 대, 2030년 약 80만 대 이상을 보급할 예정이며, 충전소의 경우 2025년까지 640개소를 건설한다고 밝혔다.

일본은 또 2017년 ‘수소 기본전략’을 통해 다시 한 번 수소 사회 진입 목표를 재확인했다. 더불어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요타 등 자동차 기업뿐만 아니라 도쿄가스, 일본정책투자은행 등 자국의 11개 기업이 함께 ‘수소충전소 연합’을 결성해 정부 계획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중국은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회의를 통해 ‘수소차 굴기’를 천명하고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 확충에 한창이다. 전기 및 플러그인 자동차 등에 지급하던 보조금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2020년까지 수소차에 승용 20만 위안, 미니버스·트럭 등에 30만 위안, 중·대형·특수차량은 50만 위안의 많은 보조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더불어 수소충전소 건설 시 500~900만 위안의 지원금 제공과 수소 산업 인재 발굴을 위한 투자도 활발하다.

미국은 지방정부 차원에서 수소차 보급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2050년까지 수소·전기차를 약 27% 이상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13년 수소충전소 건립비용의 85%를 지원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AB 8’ 법안을 수립해 수소충전소를 구축했다. 2023년까지 수소충전소 123개소를 건설하고 약 3만~6만대의 수소차를 보급할 계획이다.

◇ 글로벌 자동차회사의 '합종연횡'..."제2의 넥쏘, 제2의미라이를 찾아라"

자동차 업계는 수소차 시장 선점을 위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간의 연구·개발 협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현대차 넥쏘와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는 수소차 미라이를 개발한 도요타는 BMW와 공동으로 수소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닛산도 미국의 포드사와 제휴를 맺었다. 일본 혼다는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현대차도 지난해 세계 1위 자동차업체 폴크스바겐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상태다.

◇ 관련법 마련이 우선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한국의 수소차가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는 제도개선과 인프라구축이 핵심이다.  

지난 3월 ‘수소충전소 확대 후속조치 패키지 법안’을 발의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권칠승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수소경제의 핵심인 수소차의 보급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소충전소의 조기확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현장에서 토로하는 어려움 등이 먼저 해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법안은 수소충전소의 확대를 위해 사업자의 임대료 감면을 골자로 하고 있다.

leesun@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