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Mo 핵연료 기술…HEU 대신 LEU 연료사용 핵심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원심분무 U-Mo(우라늄 몰리브덴) 핵연료 기술이 핵 비확산에 기여한 공로로 미국 핵안보청(NNSA)으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사진은 U-Mo 핵연료 기술의 처리과정.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원심분무 U-Mo(우라늄 몰리브덴) 핵연료 기술이 핵 비확산에 기여한 공로로 미국 핵안보청(NNSA)으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사진은 U-Mo 핵연료 기술의 처리과정.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안선용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원심분무 U-Mo(우라늄 몰리브덴) 핵연료 기술이 핵 비확산에 기여한 공로로 미국 핵안보청(NNSA)으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핵 비확산의 핵심과제는 농축우라늄(HEU) 사용을 최소화하고, 우라늄 농축도가 낮은 저농축우라늄(LEU)을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고성능 연구로는 높은 성능을 내고자 농축도 90% 이상의 HEU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HEU는 테러리스트 등에 탈취될 경우 무기로 악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구원이 1989년 개발한 원심분무 U-Mo 기술은 고성능 연구로의 성능은 유지하면서 우라늄 밀도를 높여 LEU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었고, 이런 측면에서 국제사회가 한국의 원심분무 U-Mo 핵연료 기술이 연구용원자로 핵연료 전환에 필수적임을 공식 인정하는 등 핵안보 기여를 높이 평가한 것이다.

박원석 연구원 원장은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U-Mo 기술이 전세계 고농축우라늄 감축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관련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 추후 전세계 연구로 핵연료 공급의 주도권까지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2012년 서울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에서 한국, 미국, 프랑스, 벨기에 등 4개국이 원심분무 U-Mo 기술을 이용해 비군사 목적 HEU 최소화를 위한 ‘고밀도 U-Mo 핵연료 제조 실증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한 바 있으며, 연구원은 이 사업으로 미국이 제공한 우라늄 원료로 원심분무 U-Mo 분말을 제조, 2014년 미국과 벨기에에 성공적으로 공급하기도 했다.

asy@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