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지원불구 높은가격·충전소 부족 등 걸림돌

 

정부가 최근 발표한 '미래자동차 국가비전'은 2030년까지 미래차 부문의 세계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웅대한 포부를 담고 있다. 앞으로 11년 안에 친환경차 판매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의 3분의1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경부고속도로에 자율주행차가 씽씽 달리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제도와 인프라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한편 기업들의 투자도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이미 41조원의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그러나 정부의 이런 장밋빛 청사진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시장의 시각은 그야말로 '기대반 우려반'이다. 미래차 1위 국가로 가겠다는 정부의 계획을 집중분석한다. [편집자주]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경기 화성시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자동차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어린이 등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경기 화성시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자동차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어린이 등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안선용 기자] 미래차 전략에 따른 주요목표는 전기·수소차의 국내판매 비중을 현재 2%대 수준에서 2030년 33%로 제고하고, 세계시장 점유율을 현재 4%에서 10%까지 상향하는 것이다.

국내의 경우 올해 전기·수소차의 연간 판매목표는 전기차 4만2000대, 수소차 6000대다. 판매비중으로는 각각 2.3%, 0.3%다. 따라서 목표대로 2030년까지 전기차 24.4%, 수소차 8.9%로 비중을 늘리기 위해서는 각각 44만대, 16만대까지 판매량을 늘려야 한다. 하지만 목표치 달성은 산적한 문제들로 그리 쉽지 않을 전망이다.

관건은 ‘비용’

국가비전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비약적 목표를 제시했지만 관건은 비용이다. 차량별로 다르지만 현재와 같이 전기·수소차와 내연기관차간 높은 가격차가 유지되는 한 기존 내연기관차 소유자의 친환경차 구매전환을 유도하기는 어렵다. 

물론 전기·수소차에 대한 보조금은 지금도 계속 지원되고 있다. 올해 전기차와 수소차의 국가보조금 규모는 각각 756만~900만원, 2250만원이며, 지자체별로 지방 보조금까지 더하면 전기차는 최대 1900만원, 수소차는 36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가격차는 여전하다. 일례로 현대차의 2020년형 ‘코나’의 출시가격이 1914만~2624만원에 반해 2018년형 전기차인 ‘코나 일렉트릭’의 출시가격은 4650만~4850만원으로 2배 가량 차이가 난다. 전기차의 보조금을 최대금액까지 지원받을 경우 그나마 비슷해지는 수준이다.

수소차의 가격은 더욱 높아 접근성이 낮을뿐더러 소비자 선택권도 극히 제한적이다. 현재 시판 중인 수소차 모델은 현대차의 ‘넥쏘’가 유일하며, 해당모델의 2018년형 출시가격은 6890만~7220만원 수준이다. 친환경적인 구동방식으로 연료전지 등의 최첨단 기술수준이 필요한 까닭에 가격은 가장 비싸다. 

물론 미래차 전략에서 가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전기차의 경우 내연기관차와 가격대가 비슷해지는 시점까지 보조금을 유지하고, 구매시 세제지원의 연장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수소차는 부품 국산화율 100%를 달성해 차량가격을 4000만원대로 내리고, 수소 가격도 2030년까지 현재의 50% 수준인 Kg당 4천원대로 인하할 계획이다. 이는 말 그대로 목표치일 뿐이다.

인프라 확충도 시급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도 시급하다. 정부는 미래차 전략을 통해 전기충전기는 2025년까지 1만5000기, 수소충전소는 2030년까지 660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전기차 충전은 급속충전인 경우라도 실제 50kW 출력에서 2시간여, 100kW에서 1시간 이상 소요되는 등 긴 충전시간이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수소충전소는 660기까지 늘린다고 하지만 이 정도 숫자로 차량의 수요를 충족하기는 쉽지 않고, 지난 6월 노르웨이의 수소충전소 폭발로 안전성 문제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전기차 충전시간은 15분까지 단축하고, 수소충전소의 안전기술 지원방안을 내놨지만, 이같은 정부의 방안이 실제 실현화되는 시점이 언제인지에 따라 전기·수소차의 향방도 갈릴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자동차 제조업계에서는 친환경차의 생산대수가 늘어나면 원가절감도 이뤄져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수준으로의 구매가격 인하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한다”며 “수소충전소의 안전성에 관한 인식 개선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CNG의 경우에도 처음에는 마찬가지였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국회에 계류 중인 법안이 통과되면 수소충전소 관리는 보다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asy@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