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8000세대·서울 3000세대에 4년간 서비스

산업통상자원부는 SKT(광주광역시)와 옴니시스템(서울시)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실증 차원에서 광주와 서울 등 1만1000세대를 대상으로 4년간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픽사베이 제공)
산업통상자원부는 SKT(광주광역시)와 옴니시스템(서울시)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실증 차원에서 광주와 서울 등 1만1000세대를 대상으로 4년간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픽사베이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안선용 기자] ‘스마트그리드’란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이용하고, 전기소비를 합리화해 전력생산을 효율화하는 지능형전력망을 일컫는다. 이 스마트그리드 서비스가 광주와 서울 일부 지역에 당장 이달부터 적용된다. 이곳에서 소비자는 직접 전력생산에 참여하고, 요금제도 마음대로 선택하는 등 능동적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가지게 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형 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사업’ 신규과제 진행차 SKT(광주광역시), 옴니시스템(서울시)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실증 차원에서 광주와 서울 등 1만1000세대를 대상으로 4년간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0일 밝혔다.

컨소시엄은 다음과 같다. 우선 SKT는 ‘빛(光) 고을(州)에 똑똑한 빛이 그려진다’를 주제로 광주광역시 소재 아파트 7000세대를 대상으로 계절과 시간에 따라 전기료를 차등 부과하는 계시별 요금제, 소비자가 사전 계약한 전력 수요 감축 이행시 보상금을 지급하는 전력수요관리 등을 적용한다. 

또 500세대 2개 단지에는 아파트 옥상 등 공용부지에 태양광설비를 설치해 생산전력을 활용하고,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한 이동형 ESS를 통해 저장된 전력을 예식장이나 상가 등에 공급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옴니시스템은 주민 참여로 생산된 신재생에너지를 주민들이 직접 소비하는 ‘스마트 에너지공동체’를 주제로 서울시 소재 2000세대, 저층주거·상가·빌딩 등 1000세대를 대상으로 선택형 요금제를 운영한다.

공용부지에 설치된 태양광설비에서 생산된 전력은 공동체가 공유하고, 가정용 태양광 발전설비와 같이 분산된 전원은 통합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하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산업부는 이들 컨소시엄이 소비자 선택권과 편의를 높이고, 경제성을 갖춘 스마트그리드 사업모델을 발굴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소비자가 동참하는 스마트그리드 단지는 기술과 공급자 중심에서 사람과 수요자 중심의 에너지공동체 구축이 목표”라며 “실증을 통해 소비자가 수동적 전력소비에 그치지 않고, 능동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거나 수요패턴을 조절하는 프로슈머(prosumer, 생산적 소비자)로 거듭나길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asy@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