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하천 등 지형지물 이용 차단시설 설치...1~2일 내 완료 예정
민통선 이북지역 포획 시작...경계지역 등 멧돼지 개체수 조절 강화

ASF 수습본부는 멧돼지 폐사체 발견지역에 감염 우려 개체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임시 차단망을 설치했거나 설치 중에 있다. (사진 Pixabay)
ASF 수습본부는 멧돼지 폐사체 발견지역에 감염 우려 개체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임시 차단망을 설치했거나 설치 중에 있다. (사진 Pixabay)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환경부 등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ASF 수습본부)는 멧돼지 폐사체 발견지역의 멧돼지 이동 저지를 위해 도로, 하천 등 지형지물을 이용, 최대한 조속히 차단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최근 ASF 감염 멧돼지가 지속적으로 발견(7번째)되면서 위험지역 일대에 멧돼지 이동통제 차단시설을 설치하고 이후 멧돼지 포획에 나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ASF 수습본부는 “멧돼지 폐사체 발견지역에 대해서는 감염 우려 개체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임시 차단망을 설치했거나 설치 중에 있다”며 “1~2일 내 설치가 완료될 예정으로, 현재 발견지역에 더 넓은 범위의 차단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조사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도로, 하천 등 현장 지형지물을 이용한 설치시기는 최대한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ASF 수습본부는 민통선 이북지역의 포획을 시작했다. 또한 ASF 전파 우려가 있는 발생·완충지역을 제외한 경계지역 등의 멧돼지 개체수 조절을 강화하고 민통선 이북지역과 경계지역에 대한 우선적 포획을 통해 충분한 수준까지 개체수를 줄인다는 방침이다.
 
ASF 수습본부는 “발생·완충지역에서 감염 가능성이 있는 멧돼지 행동권을 벗어나는 지역의 총기포획 허용에 대해서도 관계기관, 전문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