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완전자율주행 상용화도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미래차 산업발전 전략'과 관련하여 기자들에게 브리핑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미래차 산업발전 전략'과 관련하여 기자들에게 브리핑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안선용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의 국내 신차 판매비중을 33%까지 확대하는 등 미래차 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15일 경기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각 부처 장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차 국가비전 선포식을 개최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2030년까지 미래차 세계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의지와 전략을 담은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에 따르면 이번 전략은 4차 산업혁명 및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촉발된 자동차의 친환경화·지능화·서비스 등 혁신적 변화의 가속화에 대처하기 위한 취지다. 

정부는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의 국내 신차 판매비중을 33%, 세계시장 점유율을 10%까지 늘리고, 2027년까지 전국 주요도로의 완전자율주행(레벨4) 세계 최초 상용화 등의 목표를 제시했다.

향후 10년간 국내 미래차 산업의 ‘3대 추진전략’도 제시됐다. △친환경차 기술력과 국내보급 가속화를 통해 세계시장 적극 공략 △2024년까지 완전자율주행 제도·인프라(주요도로)의 세계 최초 완비 △민간투자(60조원) 기반 개방형 미래차 생태계로 신속 전환 등이다.

문 대통령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이미 일부 유럽 국가들은 2025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금지를 발표했고,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도 친환경차 개발에 집중하는 등 친환경차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면서 “미래차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줄이는 친환경차이며, 특히 수소차는 ‘달리는 공기청정기’다. 미래차의 신차 판매율 33%가 달성되면 온실가스 36%, 미세먼지 11%를 감축하는 효과도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부적으로는 2030년까지 승용차는 물론 SUV, 소형트럭, 대형트럭, 버스 등 모든 차종의 친환경차를 출시할 방침이다. 특히 전기차는 초소형 전기차와 소형트럭, 수소차는 대형트럭과 버스를 중심으로 라인업을 구축한다. 인프라의 경우 수소충전소는 2030년 660기로 늘리고, 전기충전기는 2025년 1만5000기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자율주행차 미래시장 선점도 중요과제다. 정부는 기존계획보다 3년 앞당겨 2027년까지 주요도로에서의 완전자율주행을 세계최초로 상용화하고, 2024년까지 성능검증·보험·운전자의무 등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다.

또 교통 모니터링, 차량고장 긴급대응, 자동순찰 등 공공기반 9대 서비스를 중심으로 자율셔틀, 자율택시, 화물차 군집주행 등 자율주행 서비스를 확대하고, 2025년에는 플라잉카(flying car) 실용화도 추진한다.

정부 관계자는 “세계 미래차 시장은 기존 자동차 시장과 달리 아직 확실한 강자가 없어 우리 자동차 산업이 크게 도약할 기회이기도 하다”며 “국내기업이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필요한 2030년 미래차 산업비전과 민관이 함께 추진할 전략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asy@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