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접경지역 ASF 예찰과 방역 강화 조치
멧돼지 폐사체간 전파요인 등 역학조사 진행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멧돼지, 출입차량, 사람 외에도 하천수, 곤충 등 다양한 전파 가능원인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사진 환경부 제공)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멧돼지, 출입차량, 사람 외에도 하천수, 곤충 등 다양한 전파 가능원인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사진 환경부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환경부는 지난 5월 북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 확인 이후 지자체, 국방부 등과 협력해 폐사체 예찰을 강화함에 따라 폐사체 검사 실적이 늘어났다고 14일 밝혔다.

북한 ASF 발생 직후부터 접경지역을 통한 유입‧전파 가능성 등에 대비해 접경지역 방역 관리 강화는 물론, 울타리 설치 및 기피제 배포, 예찰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조치했다는 것.

특히 지난 7월부터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멧돼지 폐사체가 급증했는데, 정부의 오판으로 멧돼지를 통한 ASF 감염을 키웠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 환경부는 “민통선 내 멧돼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가 북한 야생 멧돼지 이동에 의한 것이라는 부분은 확인된 바 없다”고 해명했다.

환경부는 또한 “현재 광범위한 역학 조사와 분석을 진행 중이고, 중복시료 방지를 위한 협회 교육, GPS 좌표설정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멧돼지, 출입차량, 사람 외에도 하천수, 곤충 등 다양한 전파 가능원인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삼중 철책이 설치돼 비무장지대 내로 멧돼지 진입이 어렵다고 판단했지만, 지난 2일 남방한계선 북쪽 약 1.4㎞ 지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됨에 따라 철책 경계 근무시 야생멧돼지 폐사체 수색‧정찰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 국내 발생 ASF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분석이 진행 중으로 북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 일치 여부는 여전히 확인된 바 없다”며 “ASF 발생의 역학적 특성과 주변 환경요인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민관 공동 역학조사반을 구성해 사체 발생지점간 이동경로 조사 등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