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포스트코리아 안선용 기자] 얼마 전 ‘RE100(Renewable Energy 100%)’ 국내 달성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국회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지적한 내용으로, 운영비용 급증이 이유였다. 에너지전환비용에는 발전설비는 물론 송전투자, 소비자사용, 그리드보급 등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공급하는 모든 과정의 비용까지 포함된다는 것이다.  

RE100은 기업이 2050년까지 소비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부터 공급받겠다는 취지로 2014년부터 시작된 자발적 캠페인이다. 현재 BMW,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코카콜라 등 쟁쟁한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정부가 3020 등의 신재생에너지 전환정책을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RE100에 가입한 국내기업은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문제는 역시 비용이다. 진우삼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회장은 지난 7월 5일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진행된 ‘International RE100 Forum’에서 “재생에너지를 외면하고, 탄소에 의존하는 기업은 더 이상 생존할 수 없다”면서도 RE100에 가입한 기업 중 국내기업이 하나도 없는 요인으로 값비싼 재생에너지 전력생산단가를 꼽았다.

재생에너지 발전의 가격경쟁력을 논할 때 흔히들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를 꼽는다. 그리드 패리티란 전통에너지 발전과 재생에너지 발전의 균등화발전원가(LCOE, 발전소가 1kWh의 전기생산에 얼마의 비용이 드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값)가 동일해지는 시점을 일컫는다. 글로벌 연구기관은 전 세계적으로 2020~2025년 전후로 그리드 패리티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태양광 발전의 LCOE가 세계 평균치보다도 다소 높은 편이며, 때문에 지난해 10월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가 전망한 국내 그리드 패리티 도달시점인 2025~2030년을 두고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비단 비용만이 문제가 아니다.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고 조달할 수 있는 제도나 시스템의 부재 또한 엄연한 현실로 더 큰 문제다. 정부는 RE100 이행을 위한 ‘녹색요금제’ 시범사업을 이달 중 시행할 예정으로, 이는 신재생에너지설비로 생산된 전력에 대한 수요촉진 정책으로 볼 수 있다. 제도 정착을 위해서는 해외사례와 같이 투자세액공제 등의 인센티브 활용이 중요하지만, 업계에서는 이마저도 국내 여건상 쉽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전환? RE100? 여전히 많은 온실가스 배출로 기후악당 국가로 꼽히는 국내에서 조속히 실현할 수만 있다면 이보다 좋은 말이 또 있을까? 하지만 급격한 변화는 강한 반발을 야기하기 마련이다. 정작 시스템은 마련하지 않고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확대에만 급급한 정부의 모습이 딱 그러하다. 거시적 차원에서의 치밀한 사전준비가 아쉬울 따름이다. RE100에 가입하지 않은 국내기업을 탓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asy@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