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주52시간근무제가 대학생들의 취업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친 듯 합니다"

 

 

최근엔 그런 회사가 별로 없지 싶습니다만 2000년대 초중반까지도 웬만한 대기업 사무실에는 '숫자등'이 많았습니다.

1부터 8 또는 1부터 10까지 숫자가 붙어 있으면서 옆으로 긴 등인데 사무실 어디에서나 잘 보이는 곳에 대개 있었지요. 

1은 사장, 2는 부사장, 3은 전무를 뜻했고, 숫자가 높을수록 하위직으로 내려갑니다. 그 번호에 불이 들어와 있으면 재실(在室),꺼져 있으면 부재(不在)를 나타냈습니다.

1번에 불이 들어와 있는데 2번, 3번이 퇴근하기가 어디 쉽겠습니까?

정말 군대식으로 말하면 '줄줄이 사탕'이었기때문에 말단 사원은 불이 다 꺼져야 퇴근을 할 수 있었지요.

한 마디로 출근 시간은 정해져 있지만 퇴근 시간은 정해진 것이 없다 뭐 그런 때였습니다.

아시듯 지금은 세상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그린포스트코리아 사무실 근처에도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한 곳 있습니다만 오후 5시반부터 6시 정도 보면 퇴근하는 직원들이 썰물처럼 밀려나옵니다.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에다 '워라밸' 확산 등 우리 나라 기업 문화는 정말 빠른 속도로 바뀌었거나 바뀌고 있습니다. 

대학생들이 취업을 선호하는 직장으로 대기업이 공기업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끕니다.

공기업은 대학생들이 입사하고 싶은 직장에서  상당히 오랜 기간 부동의 1위였기 때문입니다.

급여도 대기업보다 별반 뒤지지 않는데다 비교적 정시 퇴근이 가능,  '삶의 질'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의 눈높이에 딱 맞아서 그랬을 것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밝힌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 결과를 보면 취업 선호 기업은 대기업이 23.0%로 가장 많았고 공사 등 공기업(19.8%)이 2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뒤를 중견기업(12.7%), 정부(공무원)(10.9%), 외국계기업(7.7%), 중소기업(6.8%), 금융기관(4.8%) 등이 잇고 있습니다.

대기업에 대한 선호도는 지난해(18.7%)보다 4.3%p 높아진 반면 지난해 25.0%로 1위였던 공기업은 무려 5.2%p 낮아졌습니다.

주52시간제에 따른 근로시간 단축으로 대기업이 높은 연봉에 '워라밸'도 가능하다는 인식이 이런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한경연은 분석했습니다.

이런 연장선상에서 공무원 시험 응시 및 준비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없다'라는 응답이 77.5%, '있다'는 19.8%로 조사됐다고 합니다.

지난해 공무원 시험을 보겠다는 응답자 23.9%보다 4.1%p 낮아진 것입니다.

요즘 젊은 직장인들에게 "밤 9시 넘어 퇴근하면서도 상사나 선배가 술 먹으러 가자 하면 군말없이 따라갔다"고 옛날 얘기하면 '저 양반이 돌았나"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참 대학생들이 희망하는 연봉은 평균 3487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16만원 높아졌고. 성별로는 남학생(3586만원)이 여학생(3427만원)보다 159만원이 더 많았다고 하네요. 

 

O..."그렇다면 洪 경제부총리의 지난 30일 국회 답변은 '연막작전'이었습니까?"  

 

철거되기 전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 단지 모습
철거되기 전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아파트 단지 모습

 

'지옥 갔다 온 둔촌주공·개포주공1·신반포3차'

'관리처분계획 인가 신청 단지, 시행 6개월내 분양 땐 적용 예외'

관리처분계획(철거·건설·분양 등 계획)인가를 받은 경우에는 분양가 상한제를 6개월간 유예한다는 내용을 담은 정부의 '10·1 부동산 대책'을 전하고 있는 2일자 조간들 제목입니다.

분양가상한제 시행에 따른 여론과 부동산시장의 추이를 놓고 '심사에 숙고를 거듭하던' 정부가 일단 한 발을 뒤로 뺀 것입니다.

'소급(遡及) 적용' 논란 등 이미 철거에 들어간 재개발 재건축 단지 주민들의 반발에다 오름세로 돌아선 부동산 가격 여기에 공급 위축 우려까지 더해진 것이 배경입니다.

정부 발표에 따라 재건축·재개발 단지가 이미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았거나 인가를 신청한 단지가 6개월까지 입주자모집공고를 신청하면 분양가상한제 적용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시행령 개정시점이 이달말로 예상되는만큼 내년 4월말 이전까지 입주자모집공고를 내게 되면 분양가상한제를 피하게 되는 것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서울의 경우 유예 대상은 61개 단지, 6만8000여 가구 규모라고 전했습니다.

당연히 해당단지 주민들은 "최악의 상태는 지나갔다"며 반기는 분위기라고 합니다.

부동산전문가들도 정부가 유연성을 발휘, 무리하지 않고 한 발 물러선 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8월 12일 분양가 상한제 시행 발표후 정확히 50일만에 이루어진 제도 시행 내용 변경에 대해 한 마디로 어이없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정부의 신인도 차원에서인데 앞으로 시장이 정부 발표를 어디까지 믿을 수 있나 하는 의구심에서입니다.

분양가 상한제는 지난 6월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방송토론회에서 언급, 공론화된 후 8월 제도 시행 발표로 진행됐습니다.

그러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제도는 만들어 놓되 시기와 적용대상은 경제관계장관회의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혀 사람들을 헷갈리게 만들었습니다.

"아! 관련 경제부처간 뭐가 삐걱대고 있구나"하는 시그널이라고 짐작할 수 밖에 없었지요.

그런데 홍 부총리는 지난달 30일 그러니까 이틀전, 경제분야 국회대정부질문 답변에서 "부동산시장의 과열 분위기를 꼭 잡겠다"고 강조해 제도 시행을 분명히 시사했었습니다.

홍 부총리가 하루후 있을 정부 발표를 몰랐을 리도 없고, 결국 발표 직전까지 보안을 유지하려는 '연막작전'이었구나 하는 판단을 할 수 밖에 없네요.

정부 정책은 신뢰와 지속성이 근간이라고 믿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일이 없으면 좋겠습니다.

  [그린포스트코리아 양승현 편집위원] 

yangsangsa@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