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사 13개 콘텐츠 모아 오디오로 송출
연합 플랫폼이라 비용 적어...광고 수익 구조

‘듣는 TV’ 콘셉트의 방송사 연합 오디오 플랫폼 ‘티팟(Tpod)’이 25일 기자 간담회에서 공식 출시를 알렸다. 사진은 SBS I&M, 연합뉴스, SK텔레콤, 삼성전자, 네이버 등 티팟 유관 기업 관계자들의 기념사진.(이재형 기자) 2019.9.25/그린포스트코리아
‘듣는 TV’ 콘셉트의 방송사 연합 오디오 플랫폼 ‘티팟(Tpod)’이 25일 기자 간담회에서 공식 출시를 알렸다.  SBS I&M, 연합뉴스, SK텔레콤, 삼성전자, 네이버 등 티팟 유관 기업 관계자들의 기념사진.(이재형 기자) 2019.9.25/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재형 기자] 지상파 주요 101개 프로그램을 모아 AI스피커로 송출하는 '듣는 방송' 플랫폼이 출시됐다. 영상 중심인 OTT 시장에 숨은 블루오션인 오디오 시장을 공략해 미디어 위기를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듣는 TV’ 콘셉트의 방송사 연합 오디오 플랫폼 ‘티팟(Tpod)’이 25일 기자 간담회에서 공식 출시를 알렸다. 티팟은 뉴스, 교양, 스포츠, 드라마, 예능, 종교 콘텐츠 등 국내 13개 방송사에서 송출된 영상 콘텐츠를 받아 오디오로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가령 JTBC 뉴스룸, YTN 24 등 방송 시 화면 제공 없이 소리만 송출되는 식이다. 

티팟은 송출에 AI스피커를 적극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알려졌다. 현재 전용 서비스인 안드로이드 앱 외에 SK텔레콤 누구 스피커, 네이버 오디오클립으로 전송하며, 추후 삼성전자 빅스비, 네이버 클로바로도 확대한다. 앞으로 자동차 플랫폼인 오토(Auto) 앱과 SK텔레콤 T맵, iOS 앱 서비스로도 확대할 예정이다. 

김한구 SK텔레콤 AI서비스제휴 담당은 “티팟의 듣는 티비라는 콘셉트가 매우 좋다고 생각했다. 티비는 보는 것이지만 집안일을 하거나 걷거나 운전 중일 때처럼 시청이 어려운 때가 잦은데 이럴 때 이용하는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현재 티팟에선 라이브 27개 채널, 팟캐스트 101개 프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사에는 △SBS △SBS미디어넷(CNBC/Sports/Golf) △YTN △연합뉴스TV △JTBC △채널A △TV조선 △MBN △아리랑국제방송(아리랑TV/아리랑라디오) △KNN(부산경남방송) △BTN(불교TV) △CTS(기독교TV) △음악전문방송사인 Radio Kiss와 Satio 등이 있다.

티팟과 유관한 방송사, AI스피커 기업들.(SBS I&M 제공) 2019.9.25/그린포스트코리아
티팟과 유관한 방송사, AI스피커 기업들.(SBS I&M 제공) 2019.9.25/그린포스트코리아

이들 방송사는 티팟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티팟에서 발생한 광고 수익금 일부를 가져가게 된다. 콘텐츠 편집권은 방송사에 있다. 방송사 입장에선 콘텐츠를 송출할 플랫폼을 추가로 확보하고 플랫폼은 양질의 콘텐츠를 공급받을 수 있어 양자에게 이득인 구조다. 

기존 플랫폼을 잘 구축한 방송사도 있는데 왜 합동 플랫폼을 구성하는 걸까. 티팟 사업을 총괄하는 SBS I&M의 박종진 실장은 미디어, 언론계의 경제적 위기를 들었다. 현재 오디오 방송 플랫폼 수익 총액이 100억원 정도로 시장이 작은데 모든 방송사가 듣는 방송 플랫폼을 구축하는 식으로 시장에 진출한다면 투입만큼 수익을 낼 수 없다는 것이다.

박 실장은 “음성 플랫폼 시장이 가능성이 있어도 각 방송사가 자체적으로 오디오 플랫폼을 만든다면 커버리지 확대 비용이 만만치 않아 매출을 내기 어렵다”면서 “미디어 업계에서 공동으로 플랫폼을 구축하면 설비 구축 등에 드는 비용을 ‘십시일반’ 해 각 회사가 부담하는 비용부담이 덜한 규모의 경제가 발생한다”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도 수익 모델에 대해 고민한 흔적이 보였다. 티팟은 콘텐츠 송출 시 광고를 합쳐서 송출하는 ‘애드 스티칭(AD stitiching)’ 방식을 차용했다. 기타 플랫폼은 콘텐츠와 광고를 분리 송출해 애드블록으로 광고를 걸러낼 수 있는데 이런 가능성을 배제해 수익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티팟 플랫폼의 유관 방송사와 송출 및 수익구조.(SBS I&M 제공) 2019.9.25/그린포스트코리아
티팟 플랫폼의 유관 방송사와 송출 및 수익구조.(SBS I&M 제공) 2019.9.25/그린포스트코리아

티팟은 현재 주요 방송사 위주지만 앞으로 팟캐스트, 팟프리카처럼 개인 오디오 방송 콘텐츠 유입도 확보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지상파 방송사 외에 개인 방송사업자까지 저변을 확대한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 민간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유입돼 선정성 등 방송의 질이 우려되는 부분은 AI스피커를 활용한 인증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개인 방송 송출 전에 음성으로 청취자 연령을 파악해 가려 송출한다는 것이다.

티팟은 올해 안에 국내 1000만대 AI 스피커로 커버리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조재룡 SBS I&M 대표는 “음성 기술과 사업 부문에서 동영상 시장에 버금가는 오디오 시장을 만들어낼 준비가 됐다”면서 “13개 방송사가 보유한 동영상 콘텐츠 제작과 유통 기술을 활용해 차원이 다른 오디오 콘텐츠 시장을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silentrock91@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