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만8836호 대상 빈집 실태조사 결과 발표
서울 총주택 0.1% 수준...노후불량주택도 1577호

서울시는 ‘빈집 활용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사진 그린포스트 DB)
서울시는 ‘빈집 활용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사진 그린포스트 DB)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서울시가 지난해 11월부터 서울 전 지역에 대한 빈집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1년 이상 방치된(지난해 3월 기준) 빈집이 2940호(무허가 건축물 357호 포함)로 파악됐다. 서울시 총 주택의 0.1% 수준이다.

서울시는 빈집 실태조사 완료로 추진 대상 사업지가 구체화됨에 따라 ‘빈집 활용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고 17일 밝혔다.

2022년까지 빈집 1000호를 매입해 임대주택(청년‧신혼부부) 4000호를 공급하고 커뮤니티 시설‧주민편의시설 등을 조성하는 등 낙후된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각 자치구에서 체계적인 빈집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예산을 지원하는 등 각 자치구와도 협력해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실태조사는 서울시가 한국감정원에 위탁해 지난해 11월부터 이뤄졌다. ‘빈집 및 소규모 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전기‧상수도 단수 정보 △무허가주택 △경찰서‧소방서 등이 범죄와 화재 예방을 위해 관리 중인 공폐가 주택 등 1만8836호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확인된 2940호는 추정치 대비 16% 수준으로 △멸실됐거나 거주민이 지방과 해외로 장기 출타 중인 곳 △전기를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작업실 △가정용 계량기를 설치한 근생‧창고‧교회 등 비주택인 경우가 포함돼 있어 빈집 추정치와 실제 조사 결과가 차이를 보이게 됐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빈집의 주택 유형을 보면 단독주택(다가구 포함)이 78%(2293호)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철거 등이 필요한 노후 불량주택(3~4등급)은 54%에 해당하는 1577호였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용산구(348호) △종로구(318호) △성북구(184호) △강북구(180호) 등에 빈집이 분포했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빈집실태조사가 완료됨에 따라 빈집 활용 도시재생 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며 “빈집을 활용해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난 해소와 다양한 주민참여공간 확보, 공유경제 실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저층주거지에 새로운 변화와 활력을 불러일으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