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기저귀 감염성균 및 위해균 조사연구 최종 결과’ 기자간담회 열려
141곳 중 28곳 법정감염병 제2군 ‘폐렴구균’ 검출...2014년 이후 사망자 증가세

최종 결과 발표 기자간담회에 나선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위탁연구책임자 김성환 단국대 미생물학과 교수. (송철호 기자) 2019.8.26/그린포스트코리아
최종 결과 발표 기자간담회에 나선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위탁연구책임자 김성환 단국대 미생물학과 교수. (송철호 기자) 2019.8.26/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정부가 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해 감염 감시체계를 확대하는 등 범부처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요양병원 배출 일회용기저귀에 있는 감염성균에 의한 감염사태가 발생할 수 있음에도 정부가 국민 보건과 안전은 외면한 채 의료폐기물 발생량 증가 처리에만 몰두하고 있어 관련 부처 및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한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는 26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요양병원 기저귀 감염성균 및 위해균에 대한 위해성 조사연구’ 최종 보고서(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이 의뢰해 지난해 12월부터 수행)를 발표했다.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위탁연구책임자 김성환 단국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전국 요양병원의 10% 정도에 해당하는 152개 요양병원에서 배출된 일반의료폐기물 용기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회용기저귀가 없었던 11곳을 뺀 141개 요양병원 중 법정감염병 제2군인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이 19.9%인 28개소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어 “2014년 법정감염병 제2군으로 지정된 폐렴구균은 감염과 사망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며 “감염우려가 있는 격리병동이 아닌 일반병동의 환자로부터 배출된 일회용기저귀에서 폐렴구균이 검출됐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병원균의 유래에 대한 철저한 안전성 조사 및 감염 예방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폐렴구균 환자는 2016년 441명에서 2017년 523명, 지난해 670명으로 늘어나고 있고 이로 인한 사망자도 지난 2014년 6명에서 2015년 34명, 2016년 18명, 2017년 67명, 지난해 115명으로 해마다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회용기저귀 감염성균 및 위해균 조사연구 최종 결과’ 기자간담회가 26일 열렸다. (송철호 기자) 2019.8.26/그린포스트코리아
‘일회용기저귀 감염성균 및 위해균 조사연구 최종 결과’ 기자간담회가 26일 열렸다. (송철호 기자) 2019.8.26/그린포스트코리아

◇ 요양병원 감염관리 대한 의구심 존재

김 교수에 따르면, 135개(95.7%) 요양병원에서 발견된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은 법정감염병은 아니지만 최근 국내외 저명학술지에서 약물의 지속적인 사용 등에 의한 해당 균의 감염성과 내성 증가에 대한 내용이 발표되는 가운데, 대부분의 요양병원 배출 일회용기저귀에서 발견된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프로테우스균(Proteus mirabilis)과 포도상구균(포도알균, Staphylococcus saprophyticus)은 각각 95개소(67.4%)와 84개소(59.6%)에서 발견됐다. 각종 화농성 염증이나 식중독 등 다양한 감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황색포도알균, Staphylococcus aureus)은 134개소(95%)에서 나왔다. 또한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칸디다균(Candida albican)은 분석 결과 5개소에서 배출된 기저귀에서 발견됐다.

김 교수는 “요양병원 내 일반병동에서 배출되는 일회용기저귀는 폐렴 및 요로감염, 각종 염증, 피부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 위험이 있는 병원균이 상당수 내재돼 있다고 판단한다”며 “일회용기저귀로부터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철저한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또한 “이 같은 연구결과가 나온 상황에서 환경부가 입법예고한 폐기물관리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대로 ‘감염성 여부’를 정확히 판단해 일회용기저귀를 감염성이 있는 의료폐기물과 감염성이 없는 사업장일반폐기물로 철저히 분리·배출할 수 있을지 우려가 따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지난 6월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환자의 일회용기저귀 중 감염우려가 낮은 기저귀는 의료폐기물 분류에서 제외해 일반폐기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한 상태다.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실태에 대해서도 김 교수는 “시료채취를 위해 개봉한 141개 일반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내 의료폐기물 이외의 폐기물이 있는 경우가 76개소로, 절반 이상의 요양병원에서 철저한 분리·배출이 이뤄지지 않음을 확인했다”며 “이처럼 요양병원 내에서 의료폐기물과 생활폐기물의 분리·배출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의료폐기물 발생량 대비 처리시설 용량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데 일조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끝으로 “이번 조사연구 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환경부의 입법예고 사항은 아직 보건학적으로 안전성을 확신할 수 없고 요양병원 감염관리에 대한 의구심마저 존재하는 상황”이라며 “입법 타당성 확보를 위해 이번 연구를 기초자료로 해서 전국 요양병원에 대한 감염관리 실태와 일회용기저귀의 감염성 및 위해성에 대한 추가 조사를 수행해 환경적·보건적·사회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