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 개발계획 담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수립·확정

신항만건설기본계획 발표하는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사진 해양수산부 제공)
신항만건설기본계획 발표하는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 (사진 해양수산부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정부는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8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전국 12개 신항만에 대한 중장기 개발계획을 담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2019~2040년)’을 확정했다.

이번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은 1997년 최초 고시 이후 20년 만에 수립된 기본계획이다. 전국 12개 신항만에 대해 2040년까지 재정 16조819억원, 민자 25조7734억원 등 총 41조 8553억원을 투입해 부두 총 119선석, 배후부지 3956만㎡를 조성하고 연간 4억3000만톤의 화물 처리시설을 추가로 확보해 2040년에는 연간 18억5000만톤을 처리할 수 있는 하역능력을 갖춰 나간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제1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고시 이후 전국 10개 신항만에 부두 156선석, 배후부지 1176만㎡를 조성해 신항만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국가경제 발전을 뒷받침해왔다.

특히 부산항 신항은 지난해 2166만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등 컨테이너 물동량 기준 세계 6위, 환적물량 기준 세계 2위 항만으로서 입지를 다졌으며 광양항도 지난해 세계에서 11번째로 3억톤 이상의 화물을 처리하는 종합물류항만으로 성장했다.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목표. (자료 해양수산부 제공)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목표. (자료 해양수산부 제공)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신남방·신북방정책 추진 △선박 대형화 △친환경 LNG 추진 선박 출현 △항만 미세먼지 저감 등 항만과 관련된 대내외 여건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어 향후 중장기 항만 정책방향 및 개발계획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해수부가 마련한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서는 기존 10개 신항만에 제주신항, 동해신항을 추가로 지정했다. 제주신항에는 중장기적으로 크루즈 등 해양관광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동해신항은 신북방정책에 맞춰 환동해 전진기지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이번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 따라 신항만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가 항만물류 선진국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